공개소프트웨어로 누구나 활용…전자정부 예산 1조 가까이 절감
전자정부 표준프레임워크는 전자정부시스템의 기반환경과 로그인 기능, 게시판 기능 등 229개의 공통 기술로 구성되며 이를 활용하면 개발비용 절감, 비표준기술의 사용에 따른 특정업체 종속 해소, 시스템 간 상호운영성 제고 등의 효과를 보게 된다.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은 공개소프트웨어로 제공되어 누구나 활용과 개량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말한다. 플랫폼이 개발되면 전자정부 예산은 현재 4조 8000억원에서 3조 8000억원으로 1조원 가까이 줄일 수 있다.
이번 연구개발은 전자정부와 정보기술산업 육성을 책임지는 두 정부 부처가 유기적으로 협력하여 국가적 상승효과를 낳고자 추진된다. 추진기간은 2016년까지로 3년이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주관연구기관이며 클라우드 전문 중소기업들이 개발에 참여한다.
전자정부의 클라우드 플랫폼이 개발되면 기업과 일반개발자도 자유롭게 소프트웨어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소프트웨어를 공개하고 정부의 적용 우수사례도 전파할 예정이다.
한국의 전자정부 표준기술은 롯데홈쇼핑 등 국내 민간기업뿐 아니라 불가리아 학사관리시스템, 멕시코 복지시스템, 베트남 행정종합정보시스템 등 해외 9개국 13개 정보화 사업의 운영기반으로 사용되었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