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 풀 확대… 민간 헤드헌터 도입을”
장석인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12일 공기업 사장들의 부정 비리 사건들과 관련해 “내부 승진 최고경영자의 경우 내부 거래에 대한 오랜 관행을 묵인해 주거나 연루돼 있는 경우가 있다”고 진단했다. 이선우 방송통신대 행정학과 교수 역시 관행이란 이름으로 부패에 무뎌지는 윤리의식을 지적하며 “엄격하게 내부 출신자들의 윤리 문제를 고려해야 했지만 관리가 안 된 측면들이 있었다”고 말했다. 공기업 내부 감시 장치가 고장나 있다는 뜻이다. 이 교수는 공익성을 통제해야 하지만 정부의 과도한 통제로 인해 공기업 스스로 자생력을 키우지 못했다며 공기업 체질 변화의 동기를 부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전문가들은 공공기관 사장 인선에 대한 인사 풀에 한계를 두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입을 모았다.
곽채기 동국대 행정학과 교수는 “기관에 따라 내부자 출신이 정답이 아닌 경우가 있다”면서 “공기업 사장은 내부 업무뿐만 아니라 대내외로부터 기관 방어와 전략 조정 등의 역할이 중요한데 내부 출신기관장들은 외부 네트워크가 약하거나 자원 동원 측면에서 약점이 드러나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그는 “너무 획일적으로 관피아 등의 문제를 접근해 인사풀을 축소시킨 경향이 있다”면서 “주무부처와의 갈등을 원만히 풀어내고 부처의 불합리한 요구에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역량과 전문성을 갖춘 관료, 정치인들을 마다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심층면접과 실제 기획서 작성 등 역량 면접을 대폭 강화해 전문성과 청렴성 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정 선임연구위원은 “일찌감치 내부 사람을 정해 놓은 요식행위 식의 공모가 아닌 헤드헌터 등을 활용해 사장 선임과 결과에 책임질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말했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2015-01-13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