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혜리 공무원인재개발원 과장
“시대가 많이 바뀐 것 같아요. 피아노·작곡에 반평생을 바치고 행정가가 되기까지 쉽지는 않았지만 어느 조직이든 저처럼 ‘비주류’가 파고들 만한 사각지대가 있다고 봅니다.”행정고시 46회로 2003년 공직에 첫발을 내디딘 구혜리(39)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스마트교육과장은 5세 때부터 피아노를 쳐 예원학교와 서울예고를 졸업했다. 천재 피아니스트로 불리는 조성진(22)의 중·고교 선배다. 서울대에서는 작곡을 전공했다. 구 과장은 17일 서울 종로구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정보화교육센터에서 피아니스트 꿈을 접고 행정가의 길을 걷게 된 사연을 꾸밈없이 털어놨다.
“99% 노력으로 안 되는 1%의 재능이 저한테 없었던 것 같아요. 예술을 하는 사람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축복받은 재능인데, 중·고교 6년이면 옥석이 가려지거든요.” 외연을 넓히고자 학부 때 작곡을 택했다고 한다. 줄곧 음악을 해 온 터에 고시를 보게 된 것은 ‘문화 행정가’라는 새로운 꿈을 갖게 됐기 때문이다. 수험 생활은 생각보다 고달팠다. 하루 대여섯 시간 한자리에 앉아 피아노를 쳤지만 개론서에 등장하는 한자엔 도저히 익숙해지질 않았다.
그럼에도 포기할 수 없었던 이유는 사람들의 편견이었다. “본격적인 수험 생활에 돌입하기 전에 행정대학원 면접을 봤습니다. 교수님들이 제게 대놓고 ‘음악 하는 애가 뭘 안다고 여기에 왔나, 하던 것이나 해’라고 하더군요..”
공직에 들어선 후에도 행정학과 출신 동기들에 비해 정보화, 홍보, 교육 훈련 등 다양한 업무가 주어졌다. 입직 초기엔 특이한 이력 때문에 행정가로서 인정받지 못할까 강박을 갖기도 했다고 구 과장은 털어놨다. 환대받는 일도 잦았다. 한때 동료들의 결혼식 반주는 모두 그의 몫이었다. 색소폰, 기타 등 악기를 다룰 줄 아는 상사들도 반주를 해 달라거나 작곡을 가르쳐 달라고 손을 내밀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6-08-1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