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시 재경직 합격자 상위 10명 중 8명 지원
타부처 ‘최순실’ 파문에 비해 ‘기재부는 무풍’ 영향 받은 듯나빠진 경제 사정 때문에 얼굴 주름살이 늘어난 기획재정부 공무원들의 표정이 오랜만에 환해졌습니다.
|
지난해에는 정반대였습니다. 상위 성적 10명 중 2명만 기재부를 택했습니다. 수석을 차지한 여성 사무관은 행정자치부를 지원했고 2, 3, 5등은 나란히 공정위에 가겠다고 손을 들었습니다. 전 부처의 ‘맏형’으로 우리나라의 경제 정책과 예산을 쥐락펴락하는 기재부의 굴욕이라는 얘기까지 나왔습니다. 대대로 재경직 수석의 기재부행은 불문율이었으니까요.
콧대 높은 기재부 직원들, 올해는 빵빵한 후배들 덕에 어깨 좀 펴게 됐다는 우스개가 들립니다. 공무원 채용을 관장하는 인사혁신처 관계자의 말을 빌리면 “지난해가 이례적이었고 전통적으로 기재부를 선호하는 재경직의 경향이 올해 다시 부활한 것”이라고 했습니다. 왜 그럴까요.
‘최순실 사태’가 적잖은 영향을 미쳤다는 게 관가의 대체적인 분석입니다. 수습 사무관들은 지난해 8월부터 연말까지 실무교육을 위해 부처를 돌며 국정 농단과 탄핵 정국의 실상을 똑똑히 목격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미래창조과학부 등의 부처는 인사부터 정책 전반이 비선 실세에 의해 크게 흔들린 반면 기재부는 무풍지대에 가까웠습니다. 국정 공백이 빚어져도 경제정책은 흔들림 없이 추진해야 한다는 정치권과 여론의 힘 실어주기도 뒷받침이 됐다는 해석이 나옵니다.
2012년 정부청사의 세종 이전 이후 인기가 높았던 서울 소재 부처 선호 현상은 옅어졌습니다. 2012년과 2015년 재경직 수석은 금융위원회를 선택하기도 했는데요. 올해는 21~43등 사이의 사무관 5명이 배치됐습니다.
세종의 주거, 교육 등 인프라가 자리를 잡았고, 일과 가정의 양립이 어느 정도 보장된 ‘세종 라이프’를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분위기도 있어 보입니다.
세종 강주리 기자 jurik@seoul.co.kr
세종 오달란 기자 dallan@seoul.co.kr
2017-01-11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