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자·미래부 세종시 이전 속도전
행자·외교·통일·국방부 등 6곳 현행법엔 이전 제외 부처로 명시
|
김부겸 행정자치부 장관 연합뉴스 |
실제로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당시 세종시에 청와대 제2집무실과 국회 분원 등을 설치하고 행정자치부와 미래창조과학부를 이전한다는 구상을 공약으로 내세웠고, 김부겸 행자부 장관 역시 공개 석상에서 행자부의 세종시 이전을 수차례 강조했다. 여야 국회의원들도 행자부의 세종시 이전을 골자로 한 법률안을 내놓고 있다.
|
행자부의 세종시 이전이 탄력을 받기 시작한 건 지난 대선부터다. 문 대통령은 국민의 뜻을 물어 행정수도 개헌을 추진하고 세종시를 행정수도로 완성하겠다는 공약을 내비쳤기 때문이다. 이 공약에는 행자부와 미래부를 세종시로 이전시키겠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문 대통령은 지난 5월 여야 원내대표들과 만난 자리에서 “국민이 동의만 해 준다면 개헌을 통해 행정수도는 세종시로 이전됐으면 좋겠다”며 “개헌이 안 되더라도 국회 분원이라도 세종시에 둬서 수많은 공무원들이 정부청사로, 국회로 와서 시간 낭비하는 건 막아야 된다”고 말했다.
김 장관 역시 인사청문회 때부터 세종시 이전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공공연하게 입장을 밝혔다. 김 장관은 3일 서울 세종문화회관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도 세종시를 행정 중심도시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장관은 특히 “조선 시대 경국대전을 근거로 수도가 서울이라는 관습헌법의 논리는 시대에 맞지 않고, 앞으로 수도 이전도 국민투표를 거쳐 검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별개로 국무조정실 역시 공공기관의 세종시 이전을 서두르고 있는 눈치다. 국무조정실은 지난달 8일부터 오는 7일까지 각 정부부처에 소속된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들을 대상으로 세종시 입주 수요를 조사하고 있다.
국무조정실 세종특별자치시지원단 관계자는 “수도권에 있는 공공기관을 세종시에 유치하고자 2~3년에 한 번씩 수요를 파악하고 있다”며 “행복중심복합도시건설청, 세종시, 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과 함께 지원 방안을 협의해 가능한 한 많은 공공기관이 세종시로 이전할 수 있도록 유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7-07-04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