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술채록·영상기록·대야미 기록 법 추진
경기도 군포시가 지역 마지막 전통마을인 ‘대야미’ 문화유산 보존 사업을 본격화한다. 시는 8일 대야미지역 공공주택지구 내 대감마을에서 대야미 마을기록사업 중간보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시는 대야미를 전통마을로 기록하고 보존할 가치가 충분한 대야미 지역을 사업 목적이 아닌 인문학적 문화적 토대 위에서 사업을 추진해 도시가치를 높여 나갈 방침이다. 이를 위해 지난해 말 발족한 대야미 아카이브사업 추진위는 대야미 공공주택지구 내 문화역사 유산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업무를 진행하고 있다.
대야미 공공주택지구는 62만여㎡ 규모로 둔대, 속달, 대야미동 일대를 포함한다. 토지주택공사(LH)가 추진하는 공공주택지구 개발사업은 2023년 말 준공 예정이다. 토지정비 이전 마을을 문화유산으로 보존하는 아카이브 사업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시는 이날 올해 초부터 진행해온 대야미 기록물 관리(아카이브) 사업의 진행 상황을 점검했다. 10여 차례 마을답사를 통해 수집한 건축과 식생 분야에 대한 검토를 진행했다. 시는 대야미 주민 생애를 구술채록하는 사업인 ‘대야미 사람들’, 이 지역 명소를 담은 영상기록물 ‘대야미 감각’, 그리고 주민참여 마을행사 사업인 ‘대야미를 기억하는 법’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대야미의 대표적 민속놀이인 둔대농악의 경기도 무형문화재 지정도 추진하기로 했다. 시는 이들 사업을 10월까지 마친 후 중장기별 자료 활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외에도 대야미의 옛 추억을 되살릴 수 있는 ‘우리동네 박물관’ 조성도 검토하고 있다.
남상인 기자 sanginn@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