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급 교육생 선정 ‘최고강사’ 박종필 국장
“많은 정보 담는 것으로 좋은 보고서 못 돼취지가 훌륭해도 안 보이게 쓰면 헛수고
뜻 정확히 해 상대방이 이해하도록 써야”
‘보고서 잘 쓰는 법’으로 명예의 전당 헌액
5년전 ‘고수의 보고법’ 출간… 3만권 팔려
“정책 관련 보고서 잘 쓰는 비법이요? 정책보고서를 제출한 뒤 나에게 전화 올 일이 없게 하자, 그것만 잘 지키면 됩니다.”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이 9일 발표한 ‘5급 공무원 교육생들이 뽑은 최고 명강사’로 박종필 고용노동부 대변인(국장급)이 공무원으로는 유일하게 뽑혔다. ‘명예의 전당’에 헌정된 그의 강의 주제는 ‘정책보고서 잘 쓰는 법’이다. 2015년부터 국가인재원에서 5급 신임 관리자·승진자 과정에서 특강하면서 그가 강조하는 것은 ‘공감’이다. 그는 “정책보고서는 문학작품이 아니다. 재능보다는 훈련이 중요하다”면서 “무엇보다 상대방 입장에서 생각해야 한다. 보고서를 읽을 사람의 눈으로 쓴다는 걸 잊으면 안 된다”고 말했다.
시작은 정책보고서 잘 쓰는 법을 주제로 후배 공무원들에게 얼기설기 유인물처럼 자료를 모아 내부 강의를 하면서부터다. 기획·조정 등 총괄부서에서 오래 일하다 보니 정책보고서 쓸 일이 많고 읽을 일도 많아 보고서 잘 쓰는 법 강의를 하게 됐다. 입소문이 나면서 지방고용청에서 요청이 많이 들어왔다고 한다. 2013년 강원고용지청장으로 일할 때 그때까지 모았던 자료를 정리하면서 2015년에는 ‘고수의 보고법’이라는 책까지 출간했다. 이 책은 16쇄나 찍으며 3만권 넘게 팔렸다. 지난달 30일에는 개정증보판까지 냈다.
그는 “보고서만 쓰면 깨지는 사람은 공통점이 네 가지 있다”면서 “내가 보기엔 괜찮아, 대충 뜻은 통하는데, 오타도 몇 개 없는데, 취지를 이해하지 못하는 것 아냐”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상대방이 이해를 해야 하고, 정확하지 않으면 뜻이 정확하게 안 통하는 것이고, 한 개도 오타는 오타라는 것, 무엇보다 깔려 있는 취지가 아무리 훌륭해도 보이게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가 말하는 상대방은 담당 국·과장은 물론, 장차관, 청와대 등 유관기관 관계자, 국민까지 정책보고서를 읽는 모든 사람을 포괄한다.
대면 보고를 잘하는 법 역시 중요한 강의 주제다. 그는 “정책보고서를 잘 쓰는 방법과 대면 보고를 잘하는 방법이 결국 동일하다. 상대방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이라면서 “거기에 더해 보고를 받는 사람의 상황을 살펴야 한다. 바쁜 상황인지 다른 중요한 문제에 신경 써야 하는 상황인지, 여유가 있는지 생각해 그에 맞춰 간략히 핵심만 보고할지 배경을 자세히 설명할지 결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글 사진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20-09-1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