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악구는 지난달 서울시 행정국이 25개 자치구를 예고 없이 점검한 결과 청사주차장 95.6%, 산하기관 주차장 97.3%의 요일스티커 부착률을 보여 25개 구청 중 당당 1위를 차지했다.
●원래 명칭서 ‘자율’ 빼고 확대 시행
‘관악구민 한가족 걷기대회’에 참가한 주… ‘관악구민 한가족 걷기대회’에 참가한 주민들이 승용차 요일제 홍보 플래카드를 펼치고 행진하고 있다. 관악구는 승용차 요일제 확산을 위해 각 종 행사에서 홍보를 빼놓지 않는다. |
그러나 요일제 진행상황은 자치구마다 천차만별이다. 관악구가 구청사와 산하기관 주차장에서 95% 이상의 스터커 부착률을 보이고 있는 반면, 일부 구는 산하기관 주차장에서의 부착률이 3%에 불과하거나 아예 뒷전인 자치구도 있다.
서울시 윤성수 요일제팀장은 “지난달부터 자치구에 요일제 시행에 만전을 기해주길 독려하고 있기 때문에 많이 좋아질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자치구에서 요일제의 성패는 상당부분 구청장의 시행의지와 관계 깊다.”고 털어놨다.
●주유 할인·세차등 혜택
관악구는 스티커 부착률이 95%를 웃도는 것에 대해 당연하다는 분위기다. 구청이나 산하기관 출입 차량부터 철저하게 요일제를 준수해야 일반 주민들에게도 권유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다.
요일제의 빠른 확산을 위해 서울시에서 추진하는 각종 인센티브 외에도 거주자주차구역 우선배정, 주유시 할인·세차 혜택 등으로 일반 주민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
또한 요일제가 정착하기 위해서는 주민들의 의식전환이 필요하다고 보고 각종 홍보물과 입간판 등을 제작해 관계기관, 학교, 아파트단지 등에 보급하고 있다.
김희철 구청장은 구청사나 산하기관을 불시에 점검하면서 요일제 위반 차량을 ‘색출’할 정도로 요일제 전도사 역을 맡고 있다.
김 구청장은 “요일제야말로 초고유가 시대에 우리나라가 살 길”이라고 강조한다.
이렇다 보니 관악구 승용차 요일제팀은 마치 구청장의 ‘별동부대’처럼 움직인다. 취약 지역인 학교, 기업체, 아파트 등에 담당 직원이 수시로 나가 홍보하고 있다.
동장이 직접 기관장을 방문해 독려하는 등 지속적인 ‘강경책’을 취할 계획이다. 요일제가 제대로 정착되지 않고 있는 학교(15.5%)와 기업체(49.2%)의 스티커 부착률을 이달 말까지 60%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복안이다.
김기용기자 kiyong@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