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구려 메달 첫 선
고구려 메달 첫 선 중국의 역사 왜곡으로 고구려에 대한 인식이 높아진 가운데 9일 광개토대왕비와 수렵도, 주작도 등이 담긴 ‘한국의 유산-고구려 메달’이 선을 보이고 있다. 이 메달은 14일부터 신한은행 전국지점에서 예약 판매된다. 이언탁기자 utl@seoul.co.kr |
일본과 중국의 ‘한국사 흔들기’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9일 ‘국사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토론회가 열렸다. 흥사단과 도산아카데미연구원 주최로 서울 동숭동 흥사단 강당에서 3시간 동안 진행된 토론회에서는 국사교육 강화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돼 있음에도 실질적인 개선이 없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았다.
발제자로 나선 이만열 국사편찬위원장은 “역사 분쟁을 조정하기 위해 마련된 한·일 역사공동위원회에서조차 일본 학자들은 망언을 일삼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개선은커녕 국사 과목의 비중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위기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 위원장은 국사교육 강화를 위한 방안으로 사회과에서 국사과 독립, 국사 수업시간 확대, 국사 과목 필수화, 국사 교과서 발행제도 개편, 국가 고시의 국사 교과 필수화 등을 제시했다.
하지만 무엇보다고 현재 국·영·수 위주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체제를 개편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것이 공통된 의견이었다. 토론자로 나선 전국역사교사모임 김육훈 회장은 “선택과목인 국사 시험을 위해 400여쪽의 방대한 양을 공부할 수험생이 과연 몇이나 되겠느냐.”면서 “수능시험에서 국·영·수 외에 국사를 포함한 ‘인문학 영역’을 신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사학계 내부에 대한 비판도 이어졌다. 김 회장은 “현실적으로 국사 수업 시간을 확대하는 양적 개선이 어렵다면 질적인 변화라도 꾀해야 한다.”면서 “아이들이 국사에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현장의 교사들이 끊임없이 연구하고 노력해 내실있는 수업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도 강조했다.
동국대 한철호 교수는 “7차 교육과정에서 ‘도덕’이 하나의 교과과목으로 인정받는 동안 밥그릇 싸움이란 오명을 쓰지 않기 위해 소극적으로 대응한 국사학계에도 책임이 있다.”고 꼬집었다.
나길회기자 kkirina@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