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세훈 행정1부시장은 20일 정례간부회의에서 서울숲의 문제점을 보고받고 이같이 지시했다.
●쓰레기통·화장실등 태부족
19일 서울숲에 30만명의 인파가 몰렸다. 시민들이 얼마나 ‘푸른공간’을 원하는지에 대한 단적인 증거다. 그러나 많은 곳곳에서 허점이 드러났다.
우선 서울숲에 음수대와 안내표지판, 쓰레기통, 화장실 등 기본 시설들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공원 전체에 34개가 설치돼 있는 쓰레기통과 6개뿐인 화장실도 추가로 설치돼야 할 필요성이 제기됐다. 음수대도 5곳뿐이다.
지하철에서 서울숲으로 이어지는 진입로가 제대로 정비되지 못한 것도 문제다. 비포장도로로 말 그대로 ‘흙먼지 길’이었다. 최용호 푸른도시국장은 “진입로는 역세권 매각 대상지여서 민간이 개발해야 할 곳”이라면서 “서울숲 담당자로서 정비하고 싶었지만 시 예산이 투입되면 오히려 감사에서 지적당하게 된다.”고 볼멘소리를 했다.
그는 화장실·음수대 등 각종 기본시설 부족에 대해서는 “시민 불편을 최소하는 방향에서 임시시설들을 최대한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많은 인파에 놀란 고라니 한 마리가 바닥에 설치된 폭 4m의 탈출 방지용 격자망(캐틀 그리드)을 뛰어 넘어 도망가는 사고도 발생했다. 다행히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대에 의해 50분만에 붙잡혔다. 서울숲 관리사무소 관계자는 “똑같은 탈출사고를 막기 위해 격자망의 폭을 조정하는 등 보완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배달 오토바이´ 휘젓고 다녀
일부 시민들의 시민의식 실종도 눈에 띄었다. 서울숲 문화예술공원내 연못에서는 수영이 금지돼 있는데도 아이들은 물론 일부 어른들까지 물에 들어가 수영을 했다. 수심 2∼3m의 연못에서 수영을 하던 초등학생 2명이 익사 위기에 놓였으나 한 시민이 구해내기도 했다. 시는 연못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안전펜스를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공원을 휘젓고 돌아다니는 ‘자장면 배달 오토바이’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일부 시민들이 공원에서 자장면을 시키면서 이같은 모습이 종종 눈에 띄었다. 서울숲은 출·입구가 없는 ‘완전 개방형’이서서 오토바이 통제가 불가능하다. 오로지 시민들의 의식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주말에는 여러 대의 오토바이가 어린아이들 사이를 아슬아슬하게 스쳐가는 위험천만한 모습이 수차례 목격되기도 했다.
금지구역인 생태숲에 일부 시민들이 들어가 사슴, 고라니 등을 놀라게 하는 경우도 발생했다. 이에 따라 시는 당분간 생태숲 통행제한 시간을 저녁 8시부터 다음날 아침 7시까지로 확대할 방침이다.
최 국장은 “시민들이 높은 시민의식을 발휘해 자발적으로 나서주지 않는다면 서울숲은 ‘오토바이 출입 금지’‘연못 수영금지’‘생태숲 진입금지’ 등 ‘…금지 숲’이 될 수 있다.”며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김기용 서재희기자 kiyong@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