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희기자 s123@seoul.co.kr
■ 힘겨웠던 때 다독여주신 선생님…
고등학교 1학년때부터 집안이 어려워졌습니다. 편찮으신 어머니를 대신해 혼자 집안 일을 해야 했습니다.
참 힘들었던 고등학교 시절, 담임 선생님께서는 늘 “힘내라.”며 다독여 주셨어요. 항상 배려를 아끼지 않으셨습니다.
우연치 않게 고등학교 3학년때 다시 한번 저의 담임 선생님이 돼 주셨어요. 고3이 되니 더 신경 써주려 노력하시고 매번 “송반장!”하시며 아이들 앞에서 더욱더 힘내라며 어깨를 두드려 주셨습니다.
저는 야간자율학습을 할 때 돈이 부족해 저녁을 거를때가 많았어요. 선생님께서는 “일 시킬 게 있다.”며 저를 불러 저녁을 자주 사주시곤 하셨습니다. 저는 그때를 정말 잊지못 합니다.
총각 선생님이시라 아침밥도 늘 거르시고 학교에 오시는 선생님께서는 제가 모르게 엄마께 전화드려 안부를 묻기도 하셨어요.
저를 위해 해외 여행을 다녀올 수 있게 추천도 해주시고 조금이라도 용돈하라며 아르바이트 자리도 알려 주시곤 했어요.
항상 저를 먼저 생각해 주시고 배려해 주시는 그분을 생각하면서 정말 열심히 공부하고 꼭 다른 사람에게 보답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지금은 원하던 대학교에 합격을 했고,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삶을 개척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렇게 성장할 수 있게 밑거름이 되주신, 너무나 그립고 평생 잊지못 할 저의 은사님께 따뜻한 아침밥을 선물해 드리고 싶습니다.
서울 이화여고 역사교사 이셨던 조인 선생님. 저와 엄마, 그리고 저희 가족 모두가 감사해하고 있습니다.
송현숙(20·여·대학생)
■ 정년퇴임 아버지 직장동료들에게
매일 한결 같이 새벽 5시에 휴대전화 아침벨이 울리면 어김없이 눈을 뜨고 일어나시는 아버지. 올해 올해 69세가 되셨어요.
연세가 많으심에도 불구하시고 가족을 위해 여전히 일을 하십니다. 자식들이 일어나기도 전에 캄캄한 길을 걸어 전철을 타고 직장으로 향하십니다.
‘아침도 못 들고 나가시고, 연세도 있으시고 체력적으로 힘드실 텐데….’하는 마음뿐입니다. 저도 일하느라 아침식사 제대로 못 챙겨드려 너무 부끄럽고 죄송합니다.
이번 3월을 마지막으로 아버지는 정년 퇴임을 하십니다. 마지막으로 동료들과 함께 따뜻한 아침식사를 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성은아(33·여·교사)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