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약자동행지수’ 발표…전년 대비 17.7% 상승
서울시의 ‘약자와의 동행’ 정책 성과 종합 평가 지수인 ‘약자동행지수’가 2년 연속 상승한 가운데 주거와 사회통합 부문은 소폭 후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료·건강, 안전, 생계·돌봄 등 부문은 이전보다 개선됐다.
4일 서울시가 발표한 약자동행지수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지수는 130.6으로 전년(111) 대비 17.7%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기준연도인 2022년(100)과 비교해도 30.6% 높아진 수치다.
2023년 10월 개발한 약자동행지수는 생계·돌봄, 주거, 의료·건강, 교육·문화, 안전, 사회통합 등 6대 영역 50개 세부지표로 구성됐다. 서울시가 ‘약자와의 동행’을 선언한 2022년을 기준값(100)으로 놓고 산출해 수치가 100보다 높으면 정책 효과가 개선됐음을, 100보다 낮으면 부진했음을 의미한다.
이날 발표된 약자동행지수를 영역별로 분석하면 의료·건강(156.5), 안전(148.9), 생계·돌봄(127.8), 교육·문화(111.3) 등 시민 일상과 밀접한 영역이 종합지수 상승세를 견인했다.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한 의료·건강 영역은 2023년 120.1에서 지난해에는 156.5로 올랐다. 취약 계층 대상 선제적 건강관리와 치매·정신건강 문제 조기 개입과 회복 지원 확대, 의료 접근성 개선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사회통합 영역 지수도 2023년 97.9에서 지난해 95.6으로 떨어졌다. 코로나19 후 확산한 사회적 신뢰 저하 영향 속 서울시민의 자원봉사 참여율, 기부 경험률 등 지표가 하락한 결과라고 시는 분석했다. 전년 대비 지난해 서울시민의 자원봉사 참여율은 6.64%에서 6.36%로, 기부 경험률은 27.47%에서 26.38%로 떨어졌다.
정상훈 서울시 기획조정실장은 “약자동행지수는 구호를 넘어 시민 일상을 변화시키고 서울시정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기준”이라며 “앞으로도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일상의 변화를 더욱 확산하고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까지 꼼꼼히 살피겠다”고 밝혔다.
유규상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