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 입맛 나는 마땅한 것 좀 없을까?
이런 음식을 먹을까. 저런 음식을 먹을까? 자꾸 망설이게 되잖아요?
계절이 바뀔 때마다 점심식사를 뭘로 할까. 점심메뉴 선택이 직장인들의 공통된 걱정거리 중 하나입니다.
그런데 날씨 더워지는 계절에 가장 대중적으로 많은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음식, 그건 역시 ‘냉면’입니다.
그러나 이 냉면이 원래는 여름 음식이 아니라 한 겨울철 음식이었다는 겁니다. 함박눈이 펑펑 내리는 한 겨울철에 얼음이 서걱서걱하는 동치미 국물에다 말아먹는 메밀국수. 그렇게 차가운 냉면을 먹다보면 온 몸을 오들오들 떨면서 또 한편으론 ‘아이구야 앗 뜨거워라.’하며 엉덩이를 델 정도로 뜨끈뜨끈한 아랫목에 앉아서 먹는 냉면 맛. 이게 진짜 냉면 맛을 제대로 즐기는 방법이었던 거죠.
‘고종황제’는 겨울철만 되면 그 왜 왕위를 물리고 덕수궁에 있을 때, 툭하면 여염에서 냉면 국수를 사오도록 해서는 동치미 국물에다 말아서 ‘후루루루룩∼ 후루루루룩∼ 후루루루룩∼’ 일부러 이렇게 큰 소리를 내가면서 냉면을 즐겼다고 합니다.
“냉면을 먹을 때는 조용조용히 먹으면 별 맛이 없다네. 되도록이면 후루루룩∼후루루룩∼ 이렇게 소리를 내가면서 먹도록들 하시게나.”
냉면을 함께 먹던 신하들에게 이런 얘기를 했던 고종황제였습니다.
요즘 우리가 너나없이 서양식 예절에 적응되다 보니까 음식을 먹을 때 소리 내지 않고 조용조용 먹어야 예의를 지키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요. 이 냉면을 먹을 때만큼은 ‘후루루룩∼후루루룩∼’ 이렇게 소리를 내면서 먹어야 제 맛을 느낄 수 가 있거든요.
어쨌거나 전에 우리 서울에서도 이 냉면으로 유명한 집이 있었습니다.
그 예전에 광교와 수표교 사이에 있는 콘크리트다리 북쪽, 그 개천가에 ‘백양루’라는 냉면집이 있었는데 서울에서도 냉면맛 좋기로 아주 소문이 났습니다. 그 집 냉면 맛이 얼마나 좋았었는가 하면요.‘눈물 젖은 두만강’을 부른 국민가수 김정구씨도 이 ‘백양루’의 단골 손님이었습니다.
가수 김정구가 한창 활발한 활동을 하던 그 시절에도 우리 서울엔 ‘조선 호텔’도 있었고 ‘반도 호텔’도 있었고 시설 좋은 숙박업소들이 여러군데 있었지만 가수 김정구가 멀리 만주 공연이나 지방 공연을 끝내고 서울에 돌아오면 청계천 가까운 곳에 있었던 그 냉면집 ‘백양루’ 주변의 ‘한양여관’에 묵곤 했던 겁니다.
그가 다른 숙박업소를 다 물리치고 굳이 한양여관에 묵었던 이유는 백양루의 냉면을 금방 시켜다 먹을 수 있는 재미 때문에 그랬다는 겁니다.
그 시절엔 이 냉면집에 전화를 하면 집집마다 배달도 해줬었거든요. 이렇게 기다란 목판에 냉면 그릇을 한 열댓개씩 담아가지고, 한손에 받쳐서 여기 어깨에 메고 그리고 한쪽 손으로는 ‘따르릉 따르릉∼’ 자전거를 타고 집집마다 냉면 배달을 해줬던 거죠.
근데 그 예전부터도 냉면이다 하면 역시 ‘평양냉면’이었잖아요. 그러나 불과 30여년 전만해도 우리 서울에서 ‘평양냉면’ 이라는 간판을 당당하게 내건 냉면집은 별로 찾아 볼 수가 없었습니다.‘함흥냉면’집은 그래도 큰 글씨로 간판을 내걸 수 있었지만 이 ‘평양냉면’은 30여년 전은 물론이고 6·25이후에도 서울시내에서 간판을 거의 찾아 볼 수 없었던 겁니다. 그 이유가 뭔가 하면요.6·25이후 북진 통일과 반공을 내세우던 그 시절에 평양이라는 말조차 내세우기가 꺼림칙했었거든요. 그러나 그 당시 남북대치 상황에서도 함흥이라는 지명은 평양보다는 그래도 거부감이 덜한 편이다 보니까 ‘함흥냉면’이라는 간판을 내걸 수 있었던 거죠. 그래서 ‘평양냉면’집은 ‘평양’이란 이름을 빼놓고 그냥 ‘냉면집’이라는 간판만 내걸었거든요.
한 열흘 있으면 6월25일 입니다만 지난날 이 냉면 하나에도 서울과 평양 사이의 거리가 멀게만 느껴졌던 겁니다.6·15 남북 선언이후 이런 느낌은 많이 사라졌습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