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평창이 2014년 동계올림픽 유치에 두번째 도전한다.
22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 의해 오스트리아 잘츠부르크, 러시아 소치와 함께 공식 후보도시로 선정된 데 이어 내년 2월 현지실사와 7월7일 과테말라에서의 최종 개최지 선정을 남겨두고 있다.
●유치 전망
강원도와 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는 내년 1월10일까지 제출해야 하는 신청파일 작성에 주력면서 2월에 있을 현지실사 준비에 본격 나서기로 했다.
평창은 세계 유일의 분단지역에서 열린다는 평화올림픽에 대한 상징성에다 자연조건과 경기장 시설, 교통 인프라가 다른 후보도시에 결코 뒤지지 않는 등 충분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특히 세계 최고 수준의 정보기술(IT)을 올림픽과 접목한 유-게임(U-game) 전략을 세워놓고 있다. 입국에서 출국은 물론 선수와 관중 등에 실시간으로 경기정보를 제공하고 전세계인들에게 현장을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유치 과제
풀어야 할 숙제도 많다. 국내 IOC 위원들의 활동위축을 비롯한 국내 도시들의 무분별한 국제대회 유치활동, 경쟁 도시들의 저돌적인 유치전략, 근시안적인 국제 정치환경 등이 걸림돌이다.2010년 당시에는 3명에 달하던 한국 IOC 위원이 현재 1명만이 활동하고 있으며,IOC와 경쟁도시들의 과도한 경계 때문에 적극적인 유치활동이 어렵다.
정부가 지원위원회를 구성하면서까지 적극 지원을 선언했지만 각종 인프라 예산 배정에는 여전히 소극적이다. 올해초 구성된 국회 2014년 평창동계올림픽유치 특별위원회마저 수개월이 지나도록 한차례 회의도 열지 않았다.
하지만 평창은 전세계 유일한 분단 도에서 개최된다는 점에서 IOC가 추구하는 세계평화 구현에 기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무엇보다도 90%를 웃도는 전국민적 지지 열기를 갖고 있어 어떤 경쟁도시보다 우위를 점하고 있다.
평창올림픽유치위는 개최도시 선정의 최우선 기준이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경기운영인 점을 감안해 평창만의 특징을 확실하게 내세운다는 전략이다.
김진선 강원도지사는 “동계올림 유치에 대한 능력을 인정받은 만큼 선수촌과 경기장 배치, 공항 등 교통시스템 등을 정밀하게 보완하고 대내외에 홍보활동을 하는 등 본격적인 유치전에 돌입하겠다.”면서 “무엇보다 IOC위원들의 표로 최종 개최지가 결정되기 때문에 국제적인 신뢰를 받으며 이들의 표심을 잡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라고 말했다.
춘천 조한종기자 bell21@seoul.co.kr
(평창 동계올림픽 어떻게 치러지나)
●대회기간
동계올림픽 2014년 2월 8∼23일(16일간)
장애인올림픽 2014년 3월9∼18일(10일간)
●참가규모 80여개국 IOC회원국 선수·임원·보도진 등 2만여명
●대회종목 총 7경기 15개종목 84세부종목
●개최장소 평창군을 주개최지로 1시간대 이내에 형성된 강릉·원주·정선·횡성 등 동계스포츠벨트
●스키 등 설상경기 알펜시아·용평·보광·성우·중봉스키장에서 개최
●빙상경기 강릉·원주에서 개최
2006-6-24 0:0: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