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도시기반시설본부는 4일 마포구 월드컵공원 지하에 묻힌 난지도 쓰레기에서 나오는 침출수를 공원에 있는 ‘난지 미술창작 스튜디오’의 냉난방 연료로 사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평균 수온이 15∼20도인 쓰레기 침출수는 냉난방용으로, 쓰레기가 썩으면서 나오는 가스는 인근 발전소의 에너지로 사용된다.
시설본부는 하루 평균 2000㎥ 정도 발생하는 침출수를 에너지로 변환하면 시간당 41만㎉의 열량을 낼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를 활용하기 위해 사업비 1억원을 들여 난지 미술창작 스튜디오의 리모델링 공사를 진행하고 있다. 오는 5월 공사가 끝나면 스튜디오의 지상 2층 연면적 760㎡의 공간은 침출수 지열로 냉난방된다.
김영걸 본부장은 “쓰레기 침출수는 온실가스 배출이 전혀 없는 에너지로 겨울에는 열을 공급하고 여름에는 시원한 바람을 공급해줄 것”이라면서 “침출수를 재생에너지로 이용하면 연간 1000만원 정도의 에너지 비용이 절감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한편 월드컵공원관리사무소는 쓰레기에서 나오는 가스 1875만 2000㎥를 지역난방공사에 판매해 지난해 6억 4300만원의 수익을 올렸다. 공원 내 하늘공원에 있는 풍력발전기 5기는 연간 3만∼4만㎾의 전기를 생산하며 공원 내 가로등과 화장실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등 친환경에너지의 산실로 자리잡고 있다.
최여경기자 kid@seoul.co.kr
2008-3-5 0:0:0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