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로개척 적극 지원” 區, 중·고등학교에 교복 니트 직거래 요청 계획
“지역 중고등학교에 공문을 보내서 교복용 니트 직거래를 요청하겠습니다.”(김우영 은평구청장)“정말 감사합니다. 꼭 판로를 열어주세요.”(배충일 동광어패럴 대표)
김우영 은평구청장은 지난 25일 갈현2동 역촌중앙시장 2층에 있는 편물공장 ‘동광어패럴’을 방문했다. 동광어패럴이 지난가을 엄청난 경쟁률을 뚫고 서울형 사회적기업으로 선정된 것을 축하하고 영세 기업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서다. 배충일(51) 동광어패럴 대표는 김 구청장이 “직거래 등 판로를 개척해달라.”는 요청을 흔쾌히 받아들이자 얼굴에 웃음꽃을 활짝 피웠다.
●“사회적기업 이용 따라 학교지원 특혜”
김 구청장은 “구청에서 지역 중고교에 연간 40억원을 지원하는데, 공문을 보내 관내 사회적기업의 니트를 이용해주면 좋겠다고 권유하고 이용 실적에 따라 교육지원금의 인센티브를 주는 것으로 해볼까요?”라고 말했다.
‘편물’이 사양산업으로 전락한 가운데 동광어패럴은 배 대표가 1975년 서울에 와 공장을 전전하며 기술을 배워 마침내 성공 신화를 써낸 영세기업이다. 섬유산업이 중국으로 다 넘어갔지만 은평에서는 가내수공업 형태로 공장 100곳이 가동되고 있다. 동광어패럴은 은평에서 다섯 손가락 안에 꼽힌다.
사업 초기에는 지하 공장에서 하루 2~3시간 잠자고 납품 대금을 수없이 떼이면서도 단 한 차례도 공장문을 닫지 않았다고 했다. 탄탄한 기술력과 동대문·청평화시장에 다양한 거래처를 둔 배 대표는 성실성으로 묵묵히 25년째 일하고 있었다. 직원 7명에게 4대 보험까지 가입해준 배 사장은 서울형 사회적기업으로 선정된 뒤 매출액이 월 3000만원에서 8000만원으로 부쩍 늘어났다고 했다.
●동광, 사회적기업 선정 뒤 매출 급증
서울시에서는 배 사장이 새로 고용한 직원 12명에게 임금 98만원을 보조해주고 있다. 사회적기업 2년째에는 절반으로 줄어들겠지만 배 사장은 새로운 도전과 미래를 꿈꾸지 않을 수 없다. 최근에는 화장품 회사 ‘스킨푸드’의 유니폼을 납품해 서울시 쪽에서도 상당히 열심히 홍보해 주고 있다.
배 사장은 “편물은 난이도가 높은데 35년간 이 분야에서 일한 제가 그 기술을 모두 가지고 있다.”면서 “어떤 샘플도 완벽하게 만들어 납품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편물 1개를 시장에 넘기면 마진은 1000~1500원 남는다. 15%의 마진을 갖지만 대신 재고 부담도 모두 배 사장이 떠안는 형태다. 매일 시장으로부터 주문을 받고, 다양한 패턴의 옷을 넘겨줘서 배 사장과 거래를 튼 매장들은 쉽게 자리를 잡는 편이다.
김 구청장은 “24일 고용노동부 서부노동사무소와 협약을 맺었으니 판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협력을 더 요청하겠다.”고 덧붙였다.
글 사진 문소영기자 symun@seoul.co.kr
2011-10-27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