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이번 용역과 주민공청회 등을 통해 사업 계획이 확정되면 2020년까지 720여억원을 들여 350만㎡를 정원화하기로 했다. 최종 보고회에서는 덕진공원이 아시아 최고가 되려면 자연, 역사, 문화가 공존하는 전통공원으로 조성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덕진 연못, 조경단, 오송제 등 3대 핵심 공간과 이를 연계한 부거점 공간을 활용해 역사와 문화가 살아 숨 쉬고 동식물이 공존하는 정원으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덕진 연못 권역은 전통문화 요소를 중심으로 한 ‘품격의 정원’으로, 조경단 권역은 조선 왕조 건립 설화 등을 바탕으로 한 ‘뿌리의 정원’으로, 오송제 권역은 자연 생태를 중심으로 한 ‘호수의 정원’으로 조성하는 안이다.
덕진공원은 고려시대에 자연적으로 형성된 대형 호수(4만여㎡)로 전북 지역의 대표적인 연꽃 군락지다. 매년 여름이면 연분홍색의 연꽃이 주변의 수양버들, 창포와 어우러져 장관을 이룬다.
전주 임송학 기자 shlim@seoul.co.kr
2014-02-13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