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 속 취임한 강영일 이사장 김모 본부장 기용 풍문 돌면서 노조 “상식에 맞지 않다” 반발
신임 강영일 이사장도 낙하산 논란 속에 지난달 18일 취임한 뒤 화합과 소통을 통한 조직 안정을 강조했다. 반대하던 노조가 이사장 취임을 수용하면서 긴 갈등을 털고 노사 관계에 ‘훈풍’이 기대됐다.
그러나 첫 인사로 김모 기획혁신본부장을 부이사장에 임명하려 한다는 풍문이 돌면서 분위기가 돌변했다. 노조가 거세게 반발하고 나섰다. 김 본부장은 전임 이사장 때인 2011년도 임금 인상분(14억원) 체불과 관련해 무리한 소송을 진행하다가 지난 2월 대전지법 소송에서 패소했다. 이로 인해 수억원의 소송 및 이자 비용으로 공기업 예산을 낭비하고, 노사관계 파탄의 당사자로서 공단 이미지를 훼손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노조 관계자는 “책임을 물어야 할 인물을 오히려 승진시킨다는 것은 상식에 맞지 않다”면서 “신임 이사장이 스스로 발목을 잡히는 무리수를 강행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지난달 27~28일 이틀간 노조가 실시한 김 본부장 퇴진 서명에는 전 직원 1300여명 중 900여명이 참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내부 반발이 확산되자 공단은 이사장 지시로 부이사장 임명 절차를 중단했다.
이런 가운데 공단 설립 후 처음 부이사장 ‘공모제’가 시행될 수 있다는 말이 나온다. 임명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퇴직자를 포함한 내외부 공모가 필요하다는 여론이다. 노조의 인사·경영권 간섭 우려를 불식시키고 화합을 위한 대승적 차원에서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실적 대안으로 거론된다.
논란의 여지는 있다. 김 본부장이 공모를 통해 선임됐을 때 노조 등에서 수용할지도 불분명하다. 노조는 (김 본부장이)응모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지만 응모 자체를 막을 수는 없다.
이처럼 김 본부장의 거취 문제가 암초로 등장한 가운데 강 이사장이 어떤 결정을 내릴지가 관심사로 대두됐다.
철도공단 간부는 “경력과 얕은 내부 인력 풀을 고려할 때 김 본부장이 1순위이긴 하지만 내부의 신망이 없다는 점에서 (이사장이) 부담을 느끼는 것 같다”면서 “조만간 어떤 방침을 정해야 하지 않겠느냐”라고 되물었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4-03-04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