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영국, 한국의 가정폭력피해자 지원 현황 발표 및 개선방안 논의
2014 해외 전문가 초청 가정폭력방지 토론회가 3일 오후 서울 동작구 서울여성플라자에서 한국여성인권진흥원 주최로 열렸다. 이번 토론회는 미국, 영국의 가정폭력방지 제도 및 피해자 지원활동을 살펴보면서 우리나라의 가정폭력피해자 지원현황을 진단하고 제도 개선 및 지역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한 첫 국제 토론회다.보니 일러(Bonni Iler)는 미국 가정폭력피해자 지원기관에서 슈퍼바이저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미국의 가정폭력피해 여성 및 아동 지원체계’를 주제로 가정폭력피해자 지원기관의 역할 및 기능, 가정폭력 피해 아동이 보이는 특징과 지원방안을 소개했다.
니키 노먼(Nicki Norman) 영국여성원조연합(Women‘s Aid Federation of England) 운영국장은 ‘영국의 가정폭력피해자 통합지원 및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과 운영’을 주제로 여성 원조 활동을 소개하고 가정폭력 피해자 지원을 위한 기관별 네트워크 구축 현황을 설명했다.
유숙영 전국가정폭력피해자상담소협의회 고문은 ‘한국의 가정폭력피해자 지원현장의 현황 및 과제’를 주제로 국내 가정폭력피해자 지원시설 및 지원체계 현황과 정부의 가정폭력방지 종합대책을 설명하고 지원현장의 향후 과제에 대해 발표했다.
양수옥 여성긴급전화1366 경북센터장은 ‘가정폭력피해자 초기지원 및 협업체계를 위한 관련기관 네트워크 활성화’를 주제로 가정폭력피해자 지원을 위한 1366경북센터, 경북도청, 경북지방경찰청, 지역상담소의 협업체계 구축과 활용현황을 소개했다.
종합토론에서는 ‘가정폭력피해자 지원제도 개선 및 지역 네트워크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실질적인 피해자 보호와 가정폭력 예방을 위한 정부와 민간의 구체적인 협력 방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됐다.
강월구 한국여성인권진흥원장은 “2014년은 가정폭력방지법이 시행된 지 16년, 정부가 가정폭력을 4대악의 하나로 선정하고 종합대책 마련 및 시행을 위해 민·관의 노력이 계속된 지 2년째 되는 해”라며 “실질적인 피해자 보호와 가정폭력 예방을 위해 정부, 관련기관은 물론 국민적 관심과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주혁 선임기자 happyhom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