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자 가운데 생존자 50명 지자체 복지사 수시방문키로…치료비 등 5억3500만원 확보
국내 생존 피해자 50명을 모두 방문한 결과 대부분이 평균 88세의 고령 및 노환, 치매 등으로 혼자서는 보행이 어려울 정도로 건강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피해자들이 사는 10개 시·도의 사회복지공무원 40명 및 전국 26개 보건소 보건담당 공무원 28명이 참여, 피해자의 건강·생활 상태를 주 1회 이상 수시 방문 등을 통해 점검·확인하고 피해자의 요구사항을 적극 수렴할 수 있는 맞춤형 지원체계가 구축됐다. 특히 이들은 농촌 지역에 거주하는 피해자나 혼자 사는 피해자에게 말벗이 돼 외롭지 않도록 보살피고, 건강이 좋지 않은 피해자와 지역 의료기관을 연계한다. 여가부는 사업에 참가하는 지자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사전교육을 실시하고 긴밀한 협조 체계를 유지할 계획이다.
여가부는 또 내년에 피해자 맞춤형 지원을 위한 별도 예산을 5000만원 확보하고 간병비와 치료사업비도 각각 3억원과 2억 3500만원으로 대폭 늘린다.
김주혁 선임기자 happyhome@seoul.co.kr
2014-10-17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