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현정 서울 YWCA 간사는 올해 양성평등 미디어 모니터링 결과 요약 발표를 통해 드라마 보도 광고 오락 등 모든 부문에 걸쳐 성별고정관념을 강화하거나 성차별적인 내용이 많았다고 지적하면서 ?성평등 관점의 미디어 모니터링 강화 ?옴부즈맨 프로그램의 역할 및 권한 강화 ?새벽에 집중된 공익광고 편성시간대 변화 ?시민단체 중심의 시청자 주권운동 필요 등을 제안했다.
윤정주 한국여성민우회 소장은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성차별 관련 규제를 강화해야 하며, 신문방송학과에 ‘양성평등과 미디어’ 과목이 개설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영선 방심위 차장은 “심의 규정에 양성평등 조항은 있지만 방송에 교육 및 오락 기능이 함께 있기 때문에 일일이 규제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있다”면서 ‘앞으로 사례가 더 모아지면 관심을 가지고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김영옥 여성가족부 사무관은 앞으로 양성평등 미디어 문화 확산 관련 예산을 늘리도록 노력하고 모니터 자료를 더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더 고민하겠다고 말했다.
고성균 동아방송예술대 교수는 양성평등 모니터 관련 홍보와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주혁 선임기자 happyhome@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