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 쐬고 온 김대리 업무능력 물올랐네
온라인 교육 기업인 휴넷에서 일하는 박기복(38) 팀장은 지난달 회사에 단 하루도 출근하지 않고 가족들을 위한 시간을 보냈다. 박 팀장은 휴가 기간 평소 읽지 못했던 책을 읽고 운동을 하면서 몸과 마음의 휴식을 취했다. 또 2주 동안 제주도 여행을 다녀오면서 삶의 의미와 가족의 소중함에 대해 생각할 수 있었다. 박 팀장은 “평소와 달리 충분히 여유를 갖고 ‘오늘 안 되면 내일 하자’라는 생각으로 하루하루를 즐겼다”며 “그러다 보니 5년간의 회사 일을 되돌아보게 됐고 다시 입사하는 사람처럼 새로운 출발점에 선 기분을 느낄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어 “휴식을 취하지 못하는 직장인은 브레이크 없는 자동차”라며 “휴가도 일의 연장선이고, 재충전은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라도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휴식 없는 직장인 브레이크 없는 자동차”
회사 임원급인 양은희(44·여) 이사도 학습휴가 제도로 2013년 가족과 함께 이집트와 터키 배낭여행을 갈 수 있었다. 양 이사는 “아들과 남편이 내가 다니는 회사에 대해 주변 사람에게 자랑하고, 내가 하는 일을 이해해 주고 공감하는 계기가 됐다”며 “좋은 기회로 휴식을 취했으니 회사에서 더 잘해야겠다는 마음이 생기면서 복귀 이후 업무에 더 충실하게 임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휴가로 인한 재충전이 업무 효율성을 높여 줄 뿐 아니라 회사와 직원이 상생하는 계기가 된 셈이다.
●작년 직장인 평균 휴가 8.6일 불과
회사의 이러한 제도 덕분에 직원들은 주변 친구들이나 지인들로부터 부러움을 사고 있다. 대부분의 직장인은 한 달간 휴가를 가기는커녕 일주일 동안의 여름휴가나 10일 이상의 연차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온라인여행사 익스피디아가 2014년 24개국 직장인 7855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직장인은 한 해 동안 평균 8.6일의 휴가만 사용했다. 프랑스(30.7일), 덴마크 (28.6일), 독일(27.7일) 등 유럽 국가뿐 아니라 멕시코(13.6일), 태국(12.1일), 말레이시아(10.7일)보다도 열악한 수준이다. 열심히 일한 김 대리들이 어디로든 떠나기는커녕 마음 놓고 쉴 수도 없는 게 현실이다.
휴넷의 사례처럼 직원들이 휴가를 모두 사용하거나 장기간 휴가를 가는 것만으로도 회사에 대한 만족도와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하지만 애당초 휴가를 생각조차 할 수 없는 과도한 업무량, 휴가 사용을 못마땅하게 여기는 상사의 눈치, 휴가를 짧게 사용하거나 아예 가지 않는 직원을 ‘열심히 일한다’고 생각하는 기업 문화는 변할 조짐을 보이지 않고 있다. 올해 여름에도 수많은 김 대리들은 재충전의 기회를 날려 버리게 될까 걱정하고 있다.
홍인기 기자 ikik@seoul.co.kr
2015-07-15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