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킹맘·워킹대디 지원책
만 3~5세 자녀를 둔 우리나라 여성 3명 가운데 1명(35.8%)이 일과 육아를 병행한다고 합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27개 회원국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일·가정 양립이 어려운 우리나라 현실을 보여줍니다. 현재 정부가 건강가정지원센터를 통해 워킹맘·워킹대디를 지원하는 사업엔 무엇이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
A. 육아와 일을 병행하게 되면 상대적으로 ‘전업맘’에 비해 뒤쳐질 수밖에 없습니다. 어느 유치원이 괜찮은지, 취학 전 자녀에게 유익한 것은 무엇인지, 자녀가 유치원 생활을 하면서 겪는 어려움은 없는지 등 워킹맘, 워킹대디가 알기 어려운 정보를 전업맘은 손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여성가족부 산하기관인 건강가정지원센터(전국 82개소)는 전업맘과 워킹맘이 함께 사용하는 ‘공동육아나눔터’(49.59㎡, 15평)를 주말에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일종의 공공 ‘키즈카페’ 역할을 하는 나눔터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이 ‘가족품앗이’입니다. 센터 측은 품앗이 신청을 한 가정을 대상으로 5~6가정씩 그룹을 만듭니다. 품앗이 그룹은 주말마다 이 나눔터 공간을 찾아 자율적으로 모임을 갖고 지역에 기반한 부모 네트워크를 쌓게 됩니다.
아버지와 자녀가 함께하는 체험프로그램이 센터별로 있습니다. 정식 명칭은 체험프로그램이지만 사실 그 안에는 ‘아버지 교육’이 포함됩니다. 자녀와의 놀이를 통해 자연스럽게 아버지의 역할을 일깨우고, 워킹대디가 가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합니다. 맞벌이 가정이 늘면서 남성의 가사·육아 활동은 전에 비해 활발해졌으나, 여전히 무의식적으로 가사·육아는 자신의 일이 아니라고 여기는 워킹대디가 있습니다. 워킹대디의 의식 변화를 이끌어내는 것은 간접적으로 워킹맘을 지원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Q. 워킹맘이 직장에서 고충을 겪을 때 받을 수 있는 도움은.
A)직장고충상담 컨설팅을 제공합니다. 법적으로 보장돼야 하는 출산휴가, 육아휴직, 모성보호 제도 등을 기업이 지키지 않을 경우 건강가정지원센터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직접 센터를 방문해 상담을 신청하면 됩니다.
Q. 전국 모든 센터에서 동일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A. 센터별로 지원하는 서비스 명칭, 범위 등이 전부 다릅니다. 지난해 워킹맘·워킹대디 시범 사업 대상이었던 구미, 당진, 성남, 시흥, 울산, 부산 연제구 등 6개 지역의 건강가정지원센터는 기관당 연간 2억원의 예산을 지원받기 때문에 제공하는 서비스도 가장 많습니다. 반면, 나머지 76곳은 기관당 연간 2000만~5000만원을 지원받기 때문에 지역수요에 맞춰 프로그램을 선별적으로 운영합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6-04-05 1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