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올라 월 평균 491만원…복지포인트 합치면 더 늘어나
올해 9급 공무원부터 국무총리에 이르기까지 전체 공무원의 세전 평균 연봉은 5892만원으로 나타났다.
27일 인사혁신처와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정부는 ‘2016년도 공무원 전체의 기준소득월액 평균액’을 지난해보다 5.1% 많은 491만원으로 관보에 고시했다. 기준소득월액이란 매월 공무원연금 기여금(부담액)과 수령액 계산에 기준으로 삼는 소득금액을 가리킨다. 쉽게 말해 전년도 개인별 과세소득에 해당 연도의 보수인상률을 곱한 것으로, 각 공무원의 월평균 총소득과 거의 일치한다.
해당 연도 5월부터 다음해 4월까지 연금 급여액의 상한 및 정지기준(1.6배), 위험직무 순직유족보상금(44.2배), 재해부조금(3.9배~1.3배)에 적용한다. 인사처 관계자는 “올해 과세소득으로 전환된 직급보조비(11만원)와 보수인상률 2.8%(13만원)를 반영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르면 전체 공무원의 연간 총소득, 즉 평균 연봉을 계산할 수 있다. 총소득에는 기본급, 성과급, 연가보상비, 급식비, 명절휴가비, 각종 수당 등 소득세법상 과세소득이 모두 포함된다. 정부는 공무원연금법시행령에 따라 해마다 4월 25일 공무원 전체의 기준월소득액을 관보에 게시하고 있다. 올해 기준소득월액은 지난해 1∼12월 근무한 94만여명(중앙·지방공무원, 법관, 검사, 헌법재판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 헌법기관 공무원)을 분석한 것이다. 다만, 평균 기준소득월액 491만원은 최하위직부터 국무총리, 장·차관 등 고위공무원까지 통틀어 과세 전 총소득에 평균을 매긴 금액이어서 상당수 공무원의 소득보다 많다. 예컨대 9급 1호봉의 세전 급여는 200만원선이지만 장관급은 1000만원을 웃돈다.
공무원 전체의 평균 기준소득월액은 2011년 395만원, 2013년 435만원, 2014년 467만원이었다. 현금처럼 결제할 수 있고 세금을 내지 않는 공무원의 복지포인트까지 감안하면 실제 월 소득은 이보다 더 많다.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
2016-04-28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