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행 85명서 100명으로 확대
인사처, 기재부와 예산 협의… ‘고용휴직 명단’ 연말까지 확정정부가 유엔 등 국제기구에 파견하는 공무원 수를 현행 85명에서 100명으로 늘린다.
국제기구 고용휴직제는 공무원이 소속기관에서 휴직한 뒤 인력 교류 협약을 맺은 국제기구에 정식 직원으로 근무하는 제도다. 한 번 파견되면 3년간 근무하되 필요한 경우 최대 2년까지 연장할 수 있다. 정부가 공무원 1명을 국제기구로 파견하기 위해 지원하는 비용은 연간 평균 2억 5000만원이다. 올해 국제통화기금(IMF) 등 37개 국제기구에 파견돼 근무 중인 공무원 수는 85명이다. 지난해 65명에서 20명을 늘린 것이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출신 인력의 국제기구 진출이 여전히 저조하다는 게 인사처의 설명이다. 인사처 관계자는 “우리나라 경제 규모에 비해 국제기구에 진출한 공무원 수가 턱없이 적은 편”이라며 “다양한 국제 기준을 설정하는 업무를 맡은 기구와 조직에 공무원들을 적극 파견해 행정한류 등 창조경제를 전할 수 있도록 한다는 방침”이라고 말했다.
현재 유엔에 근무하는 우리나라 출신 직원은 공무원과 민간인을 포함해 285명에 그친다. 호주(571명), 스페인(861명) 등 우리나라와 경제 규모가 비슷한 국가들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인사처는 부처별로 내년 국제기구 고용휴직을 위한 수요 조사를 한 뒤 올 연말까지 파견 명단을 확정할 계획이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6-05-0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