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펴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도 ‘자정’을 시작점으로 본다. 하루를 12시간으로 나눈 12지시법이 사용되던 시절이 있었다. ‘자, 축, 인, 묘…’로 이어지는 것들이다. 여기에 ‘초’(初)와 ‘정’(正)을 붙인 24반지시법도 같이 쓰였다. 24반지시법에서 ‘자시’는 ‘자초’와 ‘자정’으로 나뉜다. 이때 ‘자정’을 현재의 시법으로 바꿔 오전 0시로 계산한다.
여전히 엄격히 구별하는 곳에서는 ‘자정’을 하루의 시작이라고 여긴다. 언론 매체에서는 두 가지 의미로 받아들여질 수 있어 ‘자정’의 사용을 극히 꺼린다. 대신 ‘18일 밤 12시’나 ‘19일 0시’라고 해서 혼동이 없게 표현한다.
이경우 어문팀장 wlee@seoul.co.kr
2017-05-18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