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업 상태인 北어린이 지원 등 정부의 대화 방침에 탄력 전망
인천시는 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적극적으로 북한과의 문화·체육 교류, 인도적 차원의 북한 어린이·산모 지원, 말라리아 공동방역 등을 추진해 왔으나 남북관계 경색으로 휴업 상태다.
3일 시에 따르면 구상 중인 대표적인 대북사업으로는 내년에 1100주년을 맞는 고려 건국을 기념하는 강화·개성 간 역사 학술교류다. 시는 내년 초 개최 목표인 이 사업을 통해 고려 수도인 개성과 항몽 당시 수도였던 강화의 역사적 의미를 조명하고 양 도시가 가진 문화유적 발굴과 교류를 추진할 방침이다
스포츠 분야는 빠르면 올해 안에 결실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가 구단주인 인천유나이티드축구단과 북한 4·25축구단, 중국팀의 3개국 축구경기가 올 하반기에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인천유나이티드는 2005년부터 북한 축구단, 제3국과 함께 정례적으로 축구 경기를 벌여 왔으나 남북 정세에 따라 성사와 불발을 거듭하며 불안정하게 진행됐다. 지난해의 경우 중국 개최 일정이 합의돼 전지훈련까지 마쳤지만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갑자기 취소됐다. 시는 이번 한·미 정상회담 결과를 계기로 그동안 주로 중국에서 열렸던 경기를 남한이나 북한에서 개최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시는 또 계양구 양궁단과 경기도 양궁단, 북한·중국 양궁단 등 3개국 4개 팀이 참가하는 양궁 교류를 내년 개최를 목표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인 인천∼개성공단∼해주를 잇는 서해평화협력벨트 조성과 인천시가 장기적 과제로 설정해 온 영종도∼강화도∼개풍∼해주 간 연결도로 조성이 궤를 같이하며 추진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인천시 관계자는 “이번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대북사업 현실화 가능성이 탄력을 받게 된 만큼 정부와 인천시 간의 정책 방향이 같은 교류사업은 빠른 시일 내에 결실을 볼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학준 기자 kimhj@seoul.co.kr
2017-07-04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