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혜란 교육부 공교육진흥과장
“막막했죠. 왜 나한테 이런 임무가 떨어진 걸까 고민도 많이 했어요.”예혜란(40) 교육부 공교육진흥과장은 지난해 2월 5일 ‘국무회의에 올릴 자유학기제 전면 시행 대책을 마련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부서를 이동한 지 사흘 만이었다. 마침 설 연휴가 시작되는 날이기도 했다. 모두 휴가를 떠난 텅 빈 세종시 정부청사 사무실에서 연휴 기간 내내 머리를 싸매고 끙끙댔다. #부서 이동 사흘 만에 과제 ‘날벼락’
자유학기제는 2013년 42개 연구학교의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지난해 전면 시행됐다. 시행 직전 참여한 중학교는 전국 3200여개 중학교의 80% 수준. 예 과장이 해야 할 일은 전면 시행까지 동참하지 않았던 나머지 20%의 학교들에 자유학기제의 긍정적 효과를 알리는 일이었다. 그렇다면 자유학기제의 성과를 시범학교들을 통해 알리는 것은 어떨까. 이렇게 해서 마련된 게 바로 ‘자유학기제 토크콘서트’다. 전국을 권역별로 나눠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교사와 학부모가 직접 나와 경험을 발표하자는 생각이었다.
“초안을 본 이준식 전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내가 직접 나서겠다’고 했어요. 이영 전 차관도 동참했죠. 교육부 장관과 차관이 직접 나서면서 이야기를 나누니 교사와 학부모 모두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던 거 같아요.”
그해 2월 29일 서울 강남지역 학교를 대상으로 열린 첫 콘서트는 2학기 직전까지 매주 20회 열렸다. 장관과 차관이 참여하는 콘서트에 대한 반응은 좋았다. 수업을 바꾼 교사, 한 학기 동안 중간·기말 고사를 보지 않아 불안했던 학부모들이 실제 사례를 들으며 마음을 열었다.
이와 함께 예 과장은 수업의 변화를 이끌어 준 교사 연구회도 조직했다. 수업이 바뀌면서 교육 현장에 가져온 긍정적인 효과들이 퍼지는 계기가 됐다.
“교사들은 자신의 수업에 대한 자부심이 굉장히 강합니다. 이걸 잘 알아주면 누구보다 열심히 일하죠.”
자유학기제 체험처 확보도 관건이었다. 이 전 사회부총리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중앙행정기관을 독려했다. 중앙행정기관 43곳과 이하 산하기관까지 합하면 정부 체험처가 1200여곳에 이른다.
#장·차관이 직접 홍보… 행동으로 일군 성공
자유학기제 성공의 비결에 대해 예 과장은 “장관과 차관이 나서서 ‘호응해 달라’며 교사와 학부모를 만나고 교사와 학부모는 ‘자유학기제의 효과가 뛰어나다’고 입소문을 내고 체험처도 확보되면서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졌다”고 설명했다. 예 과장은 자신의 공을 애써 부인했지만, 실제로 그는 교육부 과장들 가운데 지난 1년 6개월 동안 가장 많이 출장을 다닌 사람이다. 지난해 2월 이후 지금까지 매주 2~3회 전국을 누빈다.
성공한 정책이라는 평가에도 불구, 매년 학년이 달라지면서 학생들이 바뀌는 까닭에 마음 놓고 있을 수만은 없다. 자유학기제 토크콘서트를 올해 상반기에 9회 연 것도 이런 이유다. 예 과장은 “2002년 공무원 생활을 시작한 뒤 추진한 정책 가운데 자유학기제가 가장 기억에 남는다”면서 “부지런히 돌아다닌 만큼 성공도 따라오는 것 같다. 앞으로도 이런 마음으로 일하겠다”며 주먹을 쥐어 보였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7-07-17 35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