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9세는 50대의 49.94%…고령화 뚜렷
생산가능인구가 72.4%… 7년새 1%P 뚝 지난해 우리나라 주민등록인구가 5183만 6000여명을 기록해 관련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많았다. 하지만 전년 대비 인구 증가율이 0.1%에도 못 미쳐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평균 연령이 사상 처음으로 42세를 넘었고, 미래 대한민국의 뿌리인 0∼9세 인구는 50대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우리 사회의 저출산·고령화 현상이 시간이 갈수록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행정안전부가 14일 발표한 주민등록인구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말 우리나라 인구는 5182만 6059명으로 전년(5177만 8544명)보다 4만 7515명 늘었다. 주민등록인구는 2008년 통계청에서 행안부로 관련 통계가 이관된 뒤로 그 수가 가장 많았다. 거주자는 5132만 5445명(99.03%)이며 거주지를 신고하지 않거나 해외에 장기 체류 중인 거주불명자 43만 3336명(0.84%), 재외국민은 6만 7278명(0.13%)으로 집계됐다.
연령별로는 50대가 861만 5884명(16.6%)으로 주류를 이뤘다. 이어 40대 848만 8587명(16.4%), 30대 727만 143명(14%), 20대 682만 3973명(13.2%), 60대 594만 9639명(11.5%) 순이었다. 저출산 영향으로 40대 이하 연령대는 대부분 인구가 줄었지만 고령화 영향으로 50대 이상 인구는 늘었다. 0∼9세 인구는 430만 3062명으로 50대의 49.94%에 그쳐 처음으로 절반 밑으로 떨어졌다. 인구 증가율도 0.09%에 불과해 역대 최저치인 2017년(0.16%)보다 더 낮았다.
생산가능인구인 15~64세 인구는 3754만 7041명으로 전체의 72.4%를 기록했다. 최고치를 기록한 2011년(73.4%)보다 1% 포인트 하락했다.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765만 408명으로 전체의 14.8%나 됐다. 유엔이 정의한 ‘고령사회’(65세 이상 14% 이상)를 넘어 ‘초고령사회’(65세 이상 20% 이상)로 빠르게 옮겨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혼·출산을 피하는 1·2인 가구 증가세도 눈에 띈다. 주민등록 가구수는 2204만 2947가구로 1년 전보다 41만 96가구(1.9%) 늘었다. 가구당 평균 구성원은 2.35명으로 해마다 낮아지고 있다. 지역별로는 경기(20만 3258명)와 세종(3만 4026명), 제주(1만 108명)를 포함해 6개 시·도에서 인구가 증가한 반면 서울(9만 1803명), 부산(2만 9200명), 전북(1만 7775명) 등 11개 지역에서는 감소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9-01-15 14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