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가 블로그] 소방청, 내외근자 차등 줄이는 조치 선행 필요
지난 9일 청와대 인사검증 등을 이유로 7개월간 인선이 미뤄졌던 국립소방연구원 초대 원장에 이창섭(59) 전 경북소방본부장이 임명됐습니다. 지난 5월 소방연구원이 개원하고 공모 절차에 15명이 몰렸는데 최후 승자가 된 겁니다. 이 원장은 소방연구원을 국내 유일의 소방 전문연구기관으로 키우겠다고 취임 일성을 밝혔죠. 사실 소방연구원의 전신은 소방과학연구실인데요. 소방청 소속기관인 중앙소방학교 내 ‘과’ 단위 기구에 불과했습니다. 당연히 소방기술 연구에 한계가 있었죠. 그만큼 소방 당국이 소방연구원에 거는 기대가 클 수밖에 없습니다.“소방연구원이 경찰의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처럼 되길 바란다.” 소방청의 한 관계자는 이렇게 기대감을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1955년 설립된 국과수는 지금까지 크게 두 차례의 변화를 겪었는데요. 1992년 5월 경찰청장 소속으로 편제되고, 2010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으로 승격된 일입니다. 조직이 점차 커지며 하는 업무도 DNA 분석, 디지털 증거 감정, 범죄 심리 등 다양해졌죠. 관계자의 말에는 소방 당국도 연구개발에 돈과 사람을 투자할 시기라는 메시지가 담겨 있습니다. 최근 소방공무원의 국가직화로 그러한 필요성은 더 커졌죠.
소방 당국의 고민은 이와 맞닿아 있습니다. 소방 조직 내에 ‘소방업무=현장출동’이라는 분위기가 강하고 내근직은 기피한다는 건데요. 대부분의 국민들도 방염복을 입고 얼굴에 검댕이 묻은 소방대원을 떠올립니다. 소방청 관계자에 따르면 “내근직으로 인사발령을 내면 육아휴직을 내는 직원이 있을 정도”라고 하네요. 이유 중 하나는 급여 차이입니다. 경기 지역은 내외근직의 급여 차이가 한 달 최대 100만원에 이른다고 합니다. 내근직이 업무량까지 많은 점을 고려하면 자연스레 기피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인 거죠.
현장에서 생사를 다투는 소방대원들의 중요성은 새삼 강조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만 연구개발 등 행정사무에 집중하는 ‘내근직’과 현장 출동하는 ‘외근직’이 양 날개로 균형 있게 자리잡아야 소방이라는 비행기가 멀리 날아갈 수 있겠죠. 그러한 분위기 속에서 소방연구원도 국과수처럼 제대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소방 당국 역시 내외근의 선순환 구조를 위해 고민해야 하는 이유입니다. 한쪽 날개로 나는 비행기에 국민의 안전을 맡길 수는 없으니까요.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19-12-25 1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