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고품질 재활용품 생산 사업 성과
장섬유로 재활용시 4200억원 시장 창출분리 배출 올 12월부터 전국 아파트 확대
|
23일 환경부에 따르면 지난 2월부터 서울·제주·천안·김해·부산 지역에서 투명 페트병 별도 분리배출 시범사업에 따라 수거된 페트병 182t(4월 기준)이 국내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재활용 제품으로 재생산됐다. 국내에서 수거된 페트병으로 의류 등 고품질 재활용품을 생산한 것은 처음이다. 그동안에는 폐페트병으로 만들어진 의류 등을 전량(연간 2만 2000t) 수입해 사용해 왔다.
제주에서 수거한 페트병을 활용해 플리츠마마·효성티앤씨 등은 니트·티셔츠 등 의류와 가방 등을 만들었다. 스파클에서 방문수거(역회수)한 페트병은 블랙야크·코오롱에프앤씨·티케이케미칼에서 기능성 의류로 생산되고 있다. 에스엠티케이케미칼은 천안에서 별도 배출된 투명 페트병으로 화장품병 재생산에 나섰다. 유럽에서 활성화된 BtoB(Bottle to Bottle) 방식이다.
환경부는 폐페트병 10만t을 부가가치가 높은 의류 등의 원료인 장섬유로 재활용 시 4200억원의 신규 시장 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를 위해 ‘수거·선별·재활용·제품 생산’의 모든 단계별로 개선 방안을 마련해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깨끗한 투명 페트병 수거 확대를 위해 오는 12월부터 별도 분리배출을 전국 아파트로 확대한다. 다만 분리배출 기반이 부족한 단독주택은 내년 12월부터 시행하기로 했다.
2020-06-2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