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학교시설 복합화란 학교부지 내에 수영장, 체육관 등 학생교육과 지역주민 생활에 필요한 공공시설을 복합적으로 설치·운영함으로써, 학교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와 유기적 연계를 맺고 공존하도록 하는 학교 시설의 새로운 모델을 의미한다.
학교시설 복합화의 대표적인 사례로는 서울 성동구에 위치한 열린금호교육문화관을 꼽을 수 있다. 열린금호교육문화관은 학교와 주민편익시설이 결합된 국내 최초의 학교복합화시설로, 성동구 금호초등학교 부지에 건립됐다. 지난 2002년 개관한 이곳은 학교와 구청, 교육청의 합의로 총 사업비 224억 원을 들여 만들어졌다. 연면적 2만 918㎡에 지하 3층~지상 6층 규모로 수영장, 실내체육관, 헬스장, 에어로빅실, 피아노실, 공영주차장 등이 들어선 상황이다. 현재 시설 운영관리는 성동구청 도시관리공단에서 맡고 있다.
이 의원은 이날 서울시교육청 교육행정국장을 상대로 “현재 교육청 내에는 학교복합화 시설 운영 및 관리를 전담하는 부서가 없다”며 “학교 교사동과 열린금호교육문화관 체육관은 연결되어 있고, 금호초 학생들은 열린금호교육문화관 내 실내체육관에서 체육수업을 듣기에 서울시교육청 역시 학교복합화 시설 관리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는 수영장, 체육관 등 내부시설별로만 구청과 운영방안에 대해 협의하고 있는 상황인데, 구청에만 사업 관리 책임을 전부 떠맡기고 정작 관리 책임이 막중한 교육청은 학교복합화 시설에 대해 나몰라라 하는 구조는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이 의원은 “학교복합화시설은 최근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생활 사회간접자본(SOC) 복합화 사업과도 맞물려 앞으로도 더욱 증가할 예정”이라며, “향후 서울시교육청은 서울 관내 학교복합화 시설을 관리하는 컨트롤타워격의 부서를 신설하는 등 교육행정기관으로서 제 역할을 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