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분당병원 연구팀 “의보 시스템 덕”
“연령·성별·기저질환 등 특성 고려해 보면
기초수급자·건보가입자 치사율 차이 없어”
2일 서울대병원 공공진료센터 이진용·정혜민 교수와 분당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이혜진 교수 등 공동 연구팀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빅데이터를 활용해 코로나19 확진자 7590명을 분석해 이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확진자의 코로나19 발생률과 치사율을 정부로부터 의료비를 지원받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와 건강보험 가입자로 나눠서 비교해 보면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들이 코로나19에 걸릴 확률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3.11배, 사망할 확률은 2.62배 높았다. 하지만 연령과 성별, 기저질환 등 특성을 고려해 보면 코로나19 감염으로 인한 사망 위험은 통계상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졌다. 연구팀은 “단순 비교했을 때 의료급여 수급자의 치사율이 높은 것은 소득 때문이 아니라 이들 중 고령자가 많고 기저질환을 앓는 비율이 높기 때문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이런 결과가 나온 것은 확진자의 치료비를 전액 지원하는 등 의료보장 시스템이 마련돼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정부는 확진자 격리·치료 등에 필요한 모든 비용을 부담하고 있다. 연구팀은 “코로나19로 인한 건강 불평등이 세계적인 문제로 대두되는 가운데 우리나라는 치료비를 정부가 지원하는 등의 정책으로 다행히 좋은 결과를 보였다”며 “다만 코로나19 유행이 지속해 병상 확보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이러한 효과가 유지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확산 방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2021-02-03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