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생산 국가들 수출 중단… 내수 우선
얀센·노바백스·모더나 도입 일정도 불확실
정은경 “2분기 물량 중 1400만회분 확정”
이상반응 신고 이틀 연속 50건 이하 기록
유럽 ‘AZ와 혈전 무관’ 발표 후 신고 급감
‘접종 후 사망’ 21명 중 16명 평소 지병 앓아
전 세계 백신 수급이 불안정해지면서 이달 말 다국가 백신연합체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들여오기로 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도입 일정도 다음달 셋째주로 미뤄졌다. 도입 물량은 당초 34만 5000명분에서 21만 6000명분으로 줄었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은 29일 “국제적인 공급 상황의 어려움이 반영된 것으로, 모든 참여국에 상반기 백신을 공급하고자 코백스가 접종 물량과 시기를 조정해 통보했다”고 밝혔다. 2분기부터 단계적으로 들여오기로 한 얀센(600만명분), 노바백스(2000만명분), 모더나(2000만명분) 백신 도입 일정과 물량도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노바백스의 경우 국내 제약사인 SK바이오사이언스가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하고 생산과 공급을 책임져서 물량 확보가 비교적 안정적이나, 전 세계 백신 수급 악화가 지속되면 국내 접종 일정도 어느 정도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당장 4~6월 백신 접종을 받을 사람이 1150만명이다.
정은경 질병관리청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범정부적인 역량을 동원해 백신 조기 확보 노력을 하고 있다”며 “2분기 물량 중 화이자 700만회분, 아스트라제네카 700만회분 등은 어느 정도 물량이 확정됐다”고 밝혔다.
백신 수급이 새로운 걱정거리로 부상한 반면 백신 이상반응은 한 고비를 넘기고 있다. 이날 중앙방역대책본부에 따르면 백신 접종 이상반응 신규 신고는 28일(48건), 29일(47건) 이틀 연속 50건 이하를 기록했다.
최근 한 달 사이 신고된 사망 사례 중 대부분은 접종과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코로나19 예방접종피해조사반은 이날 접종 후 사망자 21명 중 16명의 사인을 분석한 결과 13명은 백신과의 인과성을 인정하기 어렵고 1명은 명확히 관련성이 없다고 밝혔다. 나머지 2건은 최종 결론을 보류했다. 이들은 평소 지병을 앓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이런 가운데 현재까지 나온 백신 중 유일하게 1회만 접종해도 되는 얀센 백신은 이날 국내 첫 전문가 자문에서 66.9%의 예방효과를 인정받았다. 허가 여부는 다음달 둘째주 결론 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영국·남아프리카공화국·브라질발 등 주요 변이 바이러스 감염자는 22~29일 한 주간 40명 늘어 누적 289명이 됐다. 3종 변이 이외 ‘기타 변이 바이러스’ 국내 감염 사례는 모두 118명이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1-03-30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