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군공항 이전 후보지 무안군민 만나 설득 ‘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기후 위기에 민관 손잡았다…경기 RE100 플랫폼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시민 스타 오디션에 보트 퍼레이드…한강서 역대 최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휴머니티·자연 연결… 제주, 2025년 APEC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수질오염·악취 극복한 울산 태화강, 유네스코 생태수문학 시범구역 됐다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1급 수질… 국내 하천 중 처음 선정
자연형 호안 등 건강성 높이 평가


울산 태화강 철새공원에 둥지를 튼 백로떼. 매년 4월 7종 8000여마리의 백로가 태화강 철새공원을 찾아와 둥지를 튼 뒤 짝짓기와 부화 등을 거쳐 9월쯤 새끼들과 함께 동남아시아로 날아간다.
울산시 제공

수십년간 수질오염과 악취로 몸살을 앓았던 울산 태화강이 국내 처음 유네스코 생태수문학 시범구역으로 선정됐다. 현재 태화강은 1급 수질의 국내 최고 도심 생태하천으로 되살아났다.

울산시는 최근 유네스코 정부간수문프로그램(IHP) 한국위원회에서 태화강을 생태수문학 시범유역으로 선정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시범유역은 지구의 물 위기를 극복하고 생태수문학적으로 우수한 하천을 세계에 알리려고 유네스코에서 선정한다. 현재 26개국 37개 시범유역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올해 처음으로 태화강과 대전 갑천이 선정됐다.

유네스코는 두 차례 전문가 심사를 거쳐 지난해 말 태화강을 시범유역으로 선정했다. 유네스코 전문가 평가단은 태화강 수질 개선과 콘크리트 강둑을 걷어내고 자연형 호안으로 만들어 수생태계의 건강성을 회복한 것을 높이 평가했다. 또 태화강은 국내 최대 도심 철새도래지로 자리잡으면서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의 국제 철새이동경로 네트워크 사이트에 등재된 점 등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다.

무엇보다 올해로 ‘친환경도시 선언 20주년’을 맞은 울산에 생태수문학 시범유역 선정 의미는 크다. 태화강은 1962년부터 시작된 공업화·도시화로 5급수 하천으로 악화됐다. 공단 폐수 등이 뒤섞여 썩은 강으로 변모했다.

이에 시는 2004년 친환경도시 울산 선언을 하고, 2005년 태화강종합계획을 수립했다. 이후 10여년간 7554억원을 들여 태화강의 수질을 개선하고 곳곳에 친환경 생태공간을 조성했다.

그 결과 태화강은 봄에 황어, 여름에 은어, 가을에 연어가 돌아왔고 수달까지 둥지를 트는 생명의 강으로 되살아났다. 여름 백로와 겨울 까마귀가 날아들면서 도심 최고의 철새도래지가 됐다.

이런 노력으로 태화강은 2019년 국내 2호 국가정원으로 지정됐고, 지난해에는 500만명 이상이 방문했다. 시 관계자는 “태화강을 살려낸 역사와 기술, 노력을 세계인들에게 알려 나가고 부족한 부분은 더 개선하겠다”고 밝혔다.

울산 박정훈 기자
2024-01-24 1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츮  ڶŸ Ÿ&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