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주택도시공사가 개발한 스마트 안전 관리시스템은 기존에 시공사가 운영하던 안전 작업 위주의 안전 관리시스템과는 다르게 발주자에게 특화된 게 특징이다. 그동안 발주자의 안전 관리는 현장마다 시공사가 다르고 감독원의 역량과 경력에 따라 현장별로 안전 관리의 수준 차이가 났다.
‘스마트 안전 관리시스템’의 주요 기능은 발주자 안전 책무 이행 여부의 실시간 확인, 건설 현장의 위험 예측 및 집중 관리다. 산업안전보건법과 건설기술 진흥법 등 어렵고 복잡한 발주자의 안전 책무를 감독원이 손쉽게 이행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유도하기 때문에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대응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 건설 현장의 위험 예측에 특화돼 있다. 경기주택도시공사가 담당하는 현장을 대상으로 사전에 위험 작업으로 지정된 경우 자동으로 화면에 표시돼 집중 관리를 받게 된다. 사고 사례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발된 ‘근로자 위험도 예측 알고리즘’을 통해 위험도가 높게 측정된 근로자는 추가적인 안전조치를 받게 된다.
경기주택도시공사는 올해 내 건설공사의 계획 및 설계 단계까지 확장해 최종적인 스마트 안전 관리시스템의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다.
또 올 하반기에 입주하는 광교 신사옥에도 최첨단 안전 상황실을 구축하여 발주자 안전 관리의 표준모델을 제시할 계획이다.
안승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