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상 재개일인 내일부터 주 5일 파업 예고한 노조… 원활한 교섭 가능할지 주목
네오플 노사가 내일(1일)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결렬 이후 처음으로 공식 교섭을 재개한다.
아직 논의 안건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교섭 결렬 이전에 회사가 제안한 ‘목표 달성형 스팟 보너스’에 대한 재협상이 유력한 안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다만 노조는 회사가 노사 간 간극을 좁히고자 제안한 교섭 당일인 내일부터 주 5일 파업 전환을 예고했다. 노조를 향한 유저들의 부정적 여론을 의식하지 않는 결정으로 인해 교섭이 원활하게 진행될지는 미지수다.
한편, 네오플은 장기화한 파업에도 불구하고 ‘던전앤파이터 모바일’(이하 던파모바일)의 중국 시장 성공에 기여한 개발진에게 두 번째 성과급(GI)을 지급한다. 이번 성과급 지급은 던파모바일 중국 서비스 론칭 이후 프로젝트 기여도에 따라 총 4회에 걸쳐 진행되는 GI 중 2차에 해당한다.
이에 따라 던파모바일 개발 조직 소속 400여명의 구성원은 평균 연봉의 200% 수준의 인센티브를 받게 된다. 특히, 인센티브 산정 기간 중 우수 성과자(A등급 이상)의 경우 평균 연봉의 300% 이상을 받게 되며, 총지급액은 약 600억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총 600억원 규모의 이번 보상으로 향후 노사 협상에 긍정적인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을지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네오플은 앞서 지난 2월에도 던파모바일의 중국 흥행에 대한 보상으로 1차 GI 1000억원 이상을 지급한 바 있다. 당시 전체 개발 조직의 절반 이상이 연봉의 300% 안팎을 성과급으로 받았다. 1·2차 GI를 합산하면 개발 조직 구성원 1인당 평균 연봉의 500% 이상, 즉 월급 기준으로 6000%에 해당하는 보상이 이뤄진 셈이다.
이런 보상 시스템은 장기 파업 사태를 촉발한 노조의 ‘영업이익 4% PS(Profit Sharing) 제도’ 요구와 본질적으로 중복된다는 시각도 있다. 회사 측은 이미 성과에 따른 환원을 구조화해 운영 중이라는 입장이다.
현재 네오플은 파업 여파로 신규 인력 충원이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다. 낮은 퇴사율로 인해 퇴직에 따른 최소한의 충원만 가능한 구조가 이어지고 있다. 이는 노조가 요구하는 ‘높은 근무 강도’ 해소에도 걸림돌이 되고 있으며, 개발 지연과 서비스 안정성 저하에 대한 유저들의 불안도 점차 커지고 있다.
이번 2차 GI 지급이 단순한 보상을 넘어 뿌리 깊은 노사 간 간극을 메우는 첫 단추가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한준규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