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 협상 타결에 따라 울산에서 미국에 수출할 때 연간 33억달러의 관세 비용이 발생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울산지역본부는 1일 ‘한미 관세 협상 주요 내용 및 울산 수출 영향 브리프’에서 이렇게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며 2024년 울산의 수출 대상국 1위는 미국으로, 총수출액 881억달러 가운데 26.6%인 234억달러가 대미 수출액이었다.
품목별로는 자동차가 150억 달러로 울산지역 대미수출액의 64.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 금액을 기준으로 관세율 15%를 적용하면 22억 5000만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경쟁국보다 나은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지만, 관세 협상에 따라 일본, 유럽과 동일한 관세율이 적용되면서 비교 우위가 사라지게 됐다. 관세 부담에 더해 미국 감세 법안인 ‘정부예산 조정법안(OBBB)’ 통과 등의 영향으로 미국 내 자동차 소비자 가격 인상, 수요 감소 등 우려도 나온다.
지난해 수출액 14억달러로, 대미 수출액 6% 비중을 차지한 건전지·축전지는 2억 1000만달러의 비용의 추가 발생할 것으로 추산됐다. 9억 9000만달러를 수출한 자동차 부품은 1억 5000만 달러의 관세 부담이 예상된다. 다만 현재 생산 확대로 일부 부품 수출이 증가할 가능성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조선업은 오는 10월부터 적용되는 중국 선박·선사에 대한 입항수수료 부과에 따른 반사이익과 1500억달러 규모의 조선 협력 펀드 조성을 통해 선박 건조, 유지보수운영(MRO) 등에서 혜택을 볼 것으로 기대된다.
무역협회 울산본부 관계자는 “관세 협상 타결로 통상환경 불확실성은 어느 정도 해소했지만, 리스크는 여전하다. 우리 기업들은 관세장벽이 새로운 표준이 되는 시대에 철저히 대비해야 하고, 신시장 개척 등 노력도 병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라고 밝혔다.
울산 박정훈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