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인도 놀러 오는’ 순천만국가정원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대구마라톤에 세계 엘리트급 17개국 160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지자체마다 청년 범위 들쭉날쭉… 인구구조·재정 형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관광·지역경제 활성화”… 지자체들 캐릭터 마케팅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충남 배 농장 5곳 과수화상병 확진… 확산 우려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 농촌진흥청, 농가 자율신고 강화 등 예찰 · 방제에 총력 -
농촌진흥청(청장 김경규)은 지난 14일 과수화상병 의심증상이 발견1)된 충남 천안 배 농장 5곳에서 채취한 시료를 유전자 정밀검사 한 결과 과수화상병을 확진했다.
현재 농촌진흥청과 충남도농업기술원, 천안시농업기술센터는 과수화상병이 확진된 천안시 입장면 5곳 배 농장(면적 20,047㎡)의 전염원 제거를 위해 농가와 협력해 방제작업을 진행 중이다.
과수화상병은 발병하면 회복이 불가능한 세균병이다. 고온다습한 환경조건 하에 올해 새로 난 가지에서 병징 발현이 확대되는 경향이 있으며 주로 5월에서 7월 사이에 많이 발생한다.
과수화상병은 우리나라에서 2015년 5월 경기 안성에서 첫 발생된 뒤 현재까지 충남 천안, 충북 제천·충주, 강원 원주·평창 등 6개 지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 과수화상병 방제 현황>
(2015년)3개 시·군(68농가/59.9ha)


(2016년) 2개 시·군(32농가/19.7ha)

(2017년) 2개 시·군 (55농가/31.7ha)

(2018년) 6개 시·군 (135농가/80.2ha)
 
특히 2018년에는 충주, 원주, 평창 지역에서 신규로 발생하여 135농가 80.2ha를 폐원하고 205억원의 손실보상금을 농가에 지원했다.
농촌진흥청은 과수화상병 확산예방을 위해 올 초부터 6개 발생지역을 중심으로 과수 개화 전·개화기 약제 방제를 강화하고, 발생지역은 물론 미발생지역까지 예찰조사 범위에 포함시키는 방제 대응활동을 강화해 왔다.
지난겨울(2018.12~2019.2) 평균 기온이 전년보다 높고 봄철 고온다습해 과수화상병 발생과 확산 우려가 높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2018.12.∼2019.2. 전국평균기온 영하 0.7℃ ☞1년 전 평균은 영하 1.3℃

농촌진흥청은 과수화상병 의심주 발견 시 농업인 자진 신고를 강화하는 한편 정밀예찰을 확대하는 등 확산방지 대책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
과수화상병 방제 연구강화를 위해 관계기관과 협력해 '과수 세균병(화상병) 연구협의회'를 구성하고 △과수화상병 예측 모형 및 방제 기술 개발 △박테리오파지2)등 미생물을 활용한 생물학적·유전적 방제기술 개발 △과수화상병 저항성 품종 육성 등을 단계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과수 세균병(화상병) 연구협의회' 구성 운영과 고위험병해충 관리 전문연구부서 신설 및 관련 연구인력을 확보해 나갈 계획이다.
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 정준용 과장은 "과수화상병은 5~7월에 주로 발병하고, 기상조건에 따라 급속히 확산될 우려가 있으므로 농작업 도구의 철저한 소독과 의심 증상 발견 시 신속한 신고를 당부한다."라고 말했다.
-------------------
1) 농촌진흥청은 '2019년 과수화상병 발생조사 계획'에 따라 농림축산검역본부 및 지자체가 참여한 '제1차 과수화상병 예찰조사(5. 7.~17.')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5월 14일 충남 천안의 배 과수원 5곳에서 과수화상병 의심 증상을 발견. 해당 예찰조사는 그간 과수화상병이 발생한 경기 안성, 충남 천안, 충북 제천·충주, 강원 원주․평창을 대상으로 실시함
2)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는 세균을 공격하는 바이러스로 '박테리아 포식자(Bacteria eater)'로 알려짐
[문의] 농촌진흥청 재해대응과장 정준용, 백영목 지도관 063-238-1048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