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우유 단속’이란 말을 들어보셨습니까. 우리나라 사람들 대부분은 6·25 이후에 구호물자로 나온 ‘가루우유’를 통해 처음으로 우유맛을 봤을 겁니다.
그런데 배급 나온 그 ‘가루우유’가 어떻게 어떻게 돌고 돌아서 서울시내 다방에선 ‘가공우유’라는 이름으로 가루우유에 물을 타서 한 잔에 70환씩 받고 팔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화폐개혁 전이었기에 화폐단위가 지금처럼 ‘원’이 아니라 ‘환’이었던 거죠.
바로 그 시절 팔뚝에다 ‘위생 감찰반’이라는 완장을 차고 다방마다 돌아다니면서 ‘부정 우유’ 단속을 하기도 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우유가 남아 넘칠 정도로 국내의 낙농업이 많이 발달해 있습니다. 그리고 해마다 수은주가 높이 올라가기 시작하는 이 무렵쯤부터는 일반 청량음료의 판매량은 늘어나지만 우유 판매량은 떨어지기 때문에 낙농업자들의 한숨 소리가 커지는 계절입니다.
그런데 지금은 우유가 워낙 흔하다 보니까 그렇지 예전엔 임금님이나 드실 수 있는 것이 우유였습니다. 이런 말이 다 있었습니다. 나눌 ‘분’자에 진한 유즙 ‘락’자, 그리고 춤추고 노래하는 기생이라고 할 때의 그 ‘기’자. 다시 말해서 분락기(分酪妓)…. 이게 무슨 얘긴가 하면요.‘임금님과 정을 나눈 기생이다.’는 뜻으로 사용되던 말입니다.
‘분락기’. 어떠세요. 왜 이런 말이 나왔는지 대충 짐작이 가시죠. 예전엔 임금님이 어느 여인과 사랑을 나눌 때 우유로 만든 죽인 ‘타락죽’을 올렸다는 겁니다. 그 때 임금은 잠자리에 들기 전에 ‘타락죽’을 그 여인과 나누어 먹었고 말이죠.‘분락기’라는 말은 그래서 나온 얘깁니다. 우유로 끓인 ‘타락죽’을 임금님과 나누어 먹은 여인 ‘분락기’.
기온이 높아지기 시작하면 우유가 팔리지 않아 서울근교 낙농업자들이 울상을 짓게 되는 때에, 다시 한 번 강조하고 싶은 얘깁니다. 우유는 그 예전에 임금님의 사랑의 묘약으로 쓰여 왔다는 것을 말입니다.
이처럼 귀하게 여겨졌던 우유가 우리 서울 시민들에게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한 건 약 50년 전부터였습니다. 그 시절 우리 서울에서도 한복판인 ‘덕수궁’ 돌담길 뒤쪽에 ‘우유조합’이 있었거든요. 아마 나이 드신 분들은 기억나실 겁니다. 그리고 그쪽에 또 ‘밀크홀’이라고 해서 ‘우유 시음장’도 있었고요.
이 ‘밀크홀’은 서울의 젊은이들에게 데이트 약속 장소로 첫손에 꼽히던 곳이었습니다. 우유도 팔고, 빵, 설탕 같은 것을 싼 값에 팔았고요. 또 이 ‘밀크홀’에 가보면 당시로선 최고의 인기 배우였던 ‘신성일’‘남정임’ 같은 청춘스타들이 1일 판매원으로 나와 있었기에 그 영화 배우들을 만나보기 위해서도 ‘밀크홀’을 찾아가는 젊은이들이 많았었고 말입니다.
‘서울 우유 협동 조합’에서 우유 선전을 위해 만든 장소였기에 무슨 모임이 있을 때 회의실도 공짜로 빌려줬거든요. 그땐 우유조합이 이쪽에 있었어요.
근데 우유 조합이 덕수궁 돌담길 쪽에 있다 보니까 한 가지 문제가 있었습니다. 뭔가 하면요, 달력에 빨갛게 국경일로 표시된 날은 우유장사를 다 망치는 겁니다.
예를 들어 삼일절이다, 광복절이다, 아니면 또 그날따라 경무대(청와대의 옛 이름)에 계신 높은 분이 어디 행차를 하실 경우 십중팔구 교통통제지역에 포함됐거든요. 교통경찰관이 호루라기를 큰 소리로 불어대면서 ‘여보 여보 거기 손수레 세워요, 이쪽으로 높은 양반 지나가시기 때문에 통행금지야, 오늘은’
국경일 행사 끝날 때까지 하루 종일 길에서 기다리고 기다리다 상해버린 우유는, 전부 그냥 버릴 수밖에 없었거든요. 그 옛날 같으면 그토록 귀하고 귀한 임금님의 사랑의 묘약이었는데 말입니다. 우유를 마시면 몸에도 좋지만 낙농가도 살릴 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