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시민 보건복지부 장관이 6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 직후 한 얘기다. 한명숙 총리의 질책성 발언에 대한 반응이다.
이날 국무회의가 끝난 뒤 김창호 국정홍보처장이 유 장관에게 먼저 말을 건넸다. 김 처장은 웃으며 “왜 맨날 말썽만 일으키느냐?”고 했고, 이에 유 장관은 “총리님의 지적은 언제든 즐겁습니다.”라고 살짝 비아냥대는 듯한 발언으로 받아넘겼다.
한 총리는 이날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강한 어조로 최근 의료법 개정 사태와 관련해 철저한 점검을 지시했다. 의사들이 국민 건강을 담보로 하는 행위를 자제토록 설득하고, 집단 휴진에 대비해 비상 진료체제를 갖추라고 강조했다는 것.
그러나 의안 심의가 끝난 후 한 총리가 “더 말씀하실 분이 있느냐.”라고 하자 유 장관이 마이크를 켜고 나섰다. 유 장관은 “총리께서 관심 가져주셔서 감사드린다.”고 말한 뒤 의료법 개정의 쟁점 사항 등에 대해 조목조목 반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참석자 전언에 따르면 유 장관은 “몇가지 쟁점과 관련 서로 양보하기로 되어 있었는데 의사협회가 갑자기 태도를 바꿨다. 병원협회와 관련 학회 등 다른 단체는 휴업에 동참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크게 확산되지 않을 것.”이라며 복지부는 큰 잘못이 없다는 뉘앙스로 말했다는 것이다. 또 “30개 조항 중 20개 이상은 합의를 했고 10여개만 아직 이견을 조율 중이다.”라며 조목조목 반박했다고 전했다. 이에 총리는 “국정현안 정책조정회의에서 이 안건을 다루겠다.”고 정리하고 회의를 진행했다. 미묘한 분위기는 결국 국무회의장 밖에까지 이어져 ‘즐거습니다∼’란 발언이 나오게 된 것이다. 관가 주변에선 “지난 번 한 총리가 유 장관을 보고체계 준수 와 관련 일방적으로 질책당한 것에 대한 반응 아니겠느냐.”는 추측이 나돌고 있다.
한 총리는 지난달 16일 청와대 국무회의 직후 유 장관이 ‘비전 2030에 부응하는 건강투자전략’을 총리 및 관계부처와 협의 없이 청와대에 보고한 것을 강하게 나무랐었다.
유 장관은 앞서 지난 달 30일 청와대 국무회의 개회 직전에도 ‘공무원연금’ 문제를 놓고 박명재 행정자치부 장관과 고성이 오가는 설전을 벌이기도 했었다.
임창용 윤설영 기자 snow0@seoul.co.kr
2007-2-7 0:0: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