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공원 스카이리프트 30여년 만에 역사 속으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광주다움 통합돌봄’의 진화… “보편복지 넘어 돌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돌봄 위기가정 1만 3871명에 서비스… 안전망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쇳가루 날리던 뿌연 영등포는 옛말… 꽃향기 풀냄새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Zoom in 서울] 서울시민 33% “노후준비 안해”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2006년 서울서베이 분석

40세 이상의 서울시민 10명 가운데 3명이 노후를 대비한 생활자금 준비를 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노후자금을 준비하지 못한 40세 이상의 80% 이상은 “늙어서 자녀에 의존하고 싶지 않다.”고 대답했다. 이른바 ‘베이비붐 세대’가 10여년 후에는 ‘중·장년 극빈층’으로 사회에 쏟아져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대목이다.

국민연금 외 노후준비 77%

서울시는 ‘2006년 서울서베이’ 노후준비 관련 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서울시 통계뉴스 웹진 ‘e-서울통계’를 통해 19일 밝혔다.


서울서베이는 서울에 사는 2만 표본가구에서 만15세 이상의 시민 4만 800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10월부터 1개월 동안 조사했다.

연령별 노후준비율은 40대 77.5%,50대 72.7%,60세 이상 44.5%로 나타났다. 이로써 40세 이상 가운데 66.1%가 노후생활자금 마련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는 셈이다. 나머지 33.9%는 국민연금 이외에 아무런 금융대책이 없었다.

국민연금 외에 공무원연금, 사립교원연금, 군인연금 등 3대 공적연금에 가입한 시민은 8.0%로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분류된다. 특히 60세 이상 여성은 37.8%만이 노후준비를 하고 있다고 대답, 가장 취약한 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노후준비 방법은 보험(60.1%)이 가장 높으며, 은행저축(44.8%), 개인연금(26.4%), 부동산투자(11.5%) 등의 순이다.

노년에 공공근로, 양로원 생활

소득이 400만원 이상인 가구는 노후준비율이 83.4%로 비교적 높았다. 반면 소득 100만원 미만인 가구는 26.2%만이 노후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적은 탓에 노후 준비도 소홀한 것이다.

또 노후준비를 하지 못하는 40세 이상 가운데 80.6%는 ‘노인전용공간이나 자녀와 가까운 곳’ 등에서 살고 싶어했다.‘자녀와 함께 살기’를 희망하는 사람은 19.4%에 그쳤다. 노후를 준비하지 못하면서도 자녀에게 의존하기 싫다고 한 셈이다. 결국 이들은 특별한 방법이 없는 한 만년에 양로원 등 사회복지시설에서 외로운 노년을 보낼 수밖에 없다. 한편 2006년 서울서베이에서 서울시민의 평균 수명은 80.4세(남자 77.15세, 여자 83.26), 근로자의 평균 정년은 56.8세로 조사됐다. 따라서 퇴직후 약 20년은 더 살아야 하는 셈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현재 40대 중반 이상까지 베이브붐 세대라고 하면, 노후 준비를 하지 못한 이들은 노년에 할 수 있는 공공근로 등을 놓고도 경쟁하다 보조금으로 운영되는 양로원 등에서 말년을 쓸쓸히 보낼 처지에 놓였다.”면서 “다양한 정책적 배려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경운기자 kkwoon@seoul.co.kr

2007-11-20 0:0:0 12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