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가 추진하는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사업도 주민 스스로 지역의 고유한 콘텐츠를 활용, 고품격 생활환경을 조성해 나가는 공동체 운동이다. 마을 단위 맞춤형 개발사업을 통해 누구나 살고 싶은 ‘명품 마을’을 만드는 데 목적이 있다. 생활여건을 개선해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고, 소득기반을 강화해 지역사회에 활력을 불어넣고, 지역정체성을 향상해 지역공동체를 복원한다는 것이다.
기존 지역개발 사업이 중앙정부 주도로 단편적·획일적으로 추진된 반면, 살기좋은 지역만들기는 각 지역의 개성과 창의를 바탕으로 민관이 협력하는 ‘아래로부터의’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때문에 사업이 초기 단계임에도 불구하고 전국 30개 시범지역에서 고무적인 사례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전남 장흥군 우산마을은 급격히 변화하는 현대사회에 맞서 느림의 미학을 보여준다. 지렁이를 테마로 한 ‘슬로 시티’ 운동과 한옥마을 사업이 체계적으로 연계돼 있다. 전북 남원시 구름다리마을도 남원의 대표 인물인 춘향을 매개로 향토음식과 다양한 문화요소 등을 자원화하고 있다.
또 강원 철원군 쉬리마을은 마을을 가로지르는 1급 하천인 남대천을 지역자원으로 발굴, 청정한 자연을 간직한 지역 이미지를 강조하면서 관광객 유치에 힘쓴다. 강원 화천군 하늘빛호수마을은 자체 브랜드 ‘꽃빛향’을 매개로 소득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연꽃단지 체험센터를 조성 중이다. 이를 통해 주민들에게 다양한 일자리 창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처럼 살기좋은 지역만들기는 지역특산품생산(1차산업), 가공식품 개발(2차산업), 연계 테마관광(3차산업) 등이 어우러진 복합적 형태를 띠고 있다. 즉 지역 특성과 강점을 고려해 비교우위의 자원을 집중 개발하고, 관련 분야로 다각화해 나가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다만 고유성이 반드시 마케팅에 활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고유성이 매력성을 담보하지는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살기좋은 지역만들기는 주민들의 의식적인 노력을 통해 지역 고유의 장소 자산을 매력적인 장소상품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의미있는 작업을 수행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이처럼 21세기형 지역개발 사업인 살기좋은 지역만들기가 주민 주도의 자발적 실천운동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관심과 성원을 당부드린다.
서정욱 행안부 지역활성화과 총괄팀장
2008-6-30 0:0:0 12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