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런’ 63%가 입시 성공… 교육 사다리 세워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파격의 출산정책… “서울 공공임대 2만호 중 40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올해 예산 삭감돼 사업 차질 빚는데… 새만금 벌써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여름 산사태 예방”… 팔 걷은 지자체들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봄바람 불면 “자 떠나자 고래 잡으러”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2009년 4월 울산 남구 장생포항. 관광객을 태운 260t급 ‘탐구 5호’가 부두에 늘어선 수만명의 환송을 받으며 연안 고래탐사를 위한 돛을 올린다. 탐구 5호의 힘찬 출항으로 국내 첫 해양 고래관광 시대가 활짝 열린다. 우리나라의 포경(고래잡이) 전진기지였던 장생포항이 1986년 국제포경협회의 고래포획 금지조치 이후 23년 만에 고래잡이가 아닌 관광을 통해 ‘고래도시’의 옛 명성을 되찾고 새로운 해양 관광의 역사를 쓴다.


울산 앞바다를 유영하는 돌고래떼(사진 위). 국내 첫 고래관광선으로 출항할 예정인 탐구 5호(아래).

●고래관광 어떻게 하나

울산 앞바다 고래관광은 각종 첨단장비를 동원해 관측 가능성을 최대한 높인다. 관광객을 실은 탐사선은 울산 앞바다 위를 비행하면서 고래 관측 자료를 보내는 무인 비행선(길이 11m, 폭 3m)의 도움을 받아 운항한다.

비행선은 최고 시속 70㎞의 속도로 4시간 동안 울산 앞바다를 누비며 고래의 움직임을 탐사하게 된다. 무인 비행선이 찍은 고래 사진이나 동영상 자료를 관광선에 전송하면, 관광선은 이를 토대로 고래의 위치를 찾아 움직인다.

고래 관광선은 그동안 국립수산과학원에서 해상탐사선으로 이용했던 260t급 ‘탐구 5호’(39.4m, 폭 8m)를 개조해 사용한다. 탐구 5호는 오는 3월까지 관광선에 맞게 고래탐사 관람석, 선상 문화공연장, 세미나실, 홍보관 등을 갖추게 된다. 또 오는 23일까지 공모를 통해 새로운 이름도 갖게 된다.

탐사선은 매주 1회씩 장생포항을 출항해 정자항~간절곶~온산항 등 울산연안을 2~3시간 운항한다. 승선인원(승선료 무료)은 140명으로, 인터넷을 통해 전국의 탑승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또 울산 앞바다에는 참돌고래와 낫돌고래, 상괭이 등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고래연구소가 지난 한해 동안 연안에서 총 28회의 탐사를 벌인 결과, 참돌고래 및 밍크고래 5회, 낫돌고래 2회, 상괭이 6회 등 13회에 걸쳐 3000여마리가 목격됐다. 이는 두번 탐사에 한번꼴로 고래떼의 군무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김두겸 남구청장은 “한 종류의 고래가 여러 차례 발견된 것은 울산 앞바다가 고래탐사 관광지로 최적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면서 “울산은 포경 전진기지에서 이제 해양 고래관광 시대를 열게 됐다.”고 말했다.

●울산 고래관광벨트 구축

울산은 올해부터 2018년까지 2단계로 나눠 권역별로 특성화된 고래 관련 시설물을 갖출 계획이다. 선사유적인 반구대암각화와 장생포 고래박물관은 해마다 수만명의 관광객들이 찾으면서 이미 전국적인 명소로 자리잡고 있다.

지난 12일 확정된 ‘울산시 고래테마 관광도시 조성 마스터플랜’에 따르면 고래관광은 울주의 반구대암각화에서 고래의 역사를 공부한 뒤 남구에서 관광선을 타고 해양 고래탐사를 즐길 수 있다. 이어 동구와 북구에서 고래를 직접 체험하는 기회도 제공된다.

이에 따라 남구에는 공업탑광장~신여천사거리~울산대교광장을 잇는 ‘고래테마거리’가 조성되고, 장생포에는 고래문화마을·고래조각공원·고래분수광장 등이 만들어진다. 동구에는 대왕암지구 내에 고래생태체험장·고래체험장이, 일산해수욕장지구 내에는 고래를 직접 만져볼 수 있는 ‘고래 터치 풀’이 각각 들어선다.

또 북구의 강동지구에는 고래조형등대와 돌고래쇼장(아쿠아리움) 등이 설치된다. 울주군에서는 반구대암각화지구에 암각화벽화와 스토리텔링 안내판이, 간절곶과 KTX 울산역에는 고래테마광장 등이 들어서게 된다.

이 사업이 완료되면 생산유발효과 6130억여원, 부가가치유발효과 2587억여원, 고용유발효과 6423명이 창출될 것으로 시는 추산했다.

울산 박정훈기자 jhp@seoul.co.kr
2009-1-15 0:0:0 25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