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당시 1.12%였던 유기질 함량은 2004년 1%, 2006년 0.86%로 낮아졌고 올해는 0.51%로 떨어졌다.
이같은 유기질 함량은 국내 논 평균 2.2%, 밭 평균 1.9% 등에 비해 크게 낮은 것이다.
또 벼의 생육에 맞는 적정 유기질 함량 2.5~3%에 비해서는 터무니없이 낮아 농지로 조성해도 농사를 짓기 힘들다는 분석이다.
이같이 새만금 농지의 유기질 함량이 낮은 것은 방조제 끝물막이 공사 완료 이후 비가 내릴 때마다 토지의 양분이 쓸려 내려가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2006년 4월 방조제 끝물막이 공사가 완료되기 전에는 유기질 함량이 1%대를 유지했지만 완공 이후 급격하게 낮아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도 농업기술원은 “새만금 농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조기 활용을 위한 정부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밝혔다.
유기질 함량을 작물생육에 적합한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지력을 높이는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기술원 관계자는 “새만금 간척지는 농사를 짓지 않는 동안 염분상승을 억제하고 땅심을 높이기 위해 가을철에 볏짚을 다량 넣고 제염 효과를 높이는 객토사업을 추진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한편 새만금지구 농업용지는 8570㏊로 전체 새만금 내부 토지의 30.3%에 이르고 있다.
전주 임송학기자 shlim@seoul.co.kr
2009-7-29 0:0:0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