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공원 스카이리프트 30여년 만에 역사 속으로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광주다움 통합돌봄’의 진화… “보편복지 넘어 돌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돌봄 위기가정 1만 3871명에 서비스… 안전망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쇳가루 날리던 뿌연 영등포는 옛말… 꽃향기 풀냄새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정책진단] 반달곰 복원계획 수정 불가피한 이유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① 곰 원종 공급↓ ② 새끼·개체수↓ ③ 야생 적응률↓

복원계획 수립 당시 국내에는 반달가슴곰에 관한 자료가 전무했다. 또 곰과 같은 대형 포유류 복원이 처음으로 시도되는 일이어서 계획수립 단계부터 어려움을 겪었다. 그럼에도 여러 변수를 고려한 시뮬레이션 활용과 국내외 전문가들의 참여로 반달가슴곰 복원계획이 마련됐고, 2004년부터 실질적인 사업 실행에 들어갔다.

그러나 당초 반영된 계획의 일부가 예상과 다르게 진행되면서 복원계획에 대한 수정·보완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가장 큰 문제는 매년 방사에 적합한 6개체의 원종 확보가 어렵다는 것이다. 한반도 혈통과 동일한 우수리아종의 경우 중국 동북지역(헤이룽장성과 지린성 일대), 러시아 연해주지역 그리고 북한에 분포해 있는 것으로 알려져 2004년 러시아 우수리스크 보호구와 업무협정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로써 첫해 1년생 새끼 곰을 시작으로 3년간 도입해 왔으나 2008년부터 곰 공급이 중단됐다. 북한으로부터 도입하려던 계획도 급격한 정세 변화로 무산됐다. 중국산 도입 또한 비용 과다요구로 무산돼 방사를 위한 원종 수급이 막혀 버렸다.

아울러 방사된 원종의 출산시기가 늦어지고 낳은 새끼 수가 적다는 점도 문제다. 반달가슴곰의 연령이 4년차에 접어들면 암컷 1마리가 2마리의 새끼를 출산하고, 5년차에는 2마리 암컷이 2마리씩 총 4마리, 6년차에는 또 다른 암컷 2마리가 2마리씩 4마리를 출산할 것으로 예상했다. 그래서 올해쯤엔 야생에서 총 10마리 정도가 늘어날 것이란 가정을 세웠었다.

하지만 결과는 5년차에 교미해 6년차에 첫 새끼가 출산됐다. 이마저 1마리만 낳아 방사 후 개체수는 제자리걸음 상태다.

또 방사한 개체들도 예상보다 야생 적응률이 현저히 떨어졌다. 복원계획에는 야생 적응률을 66%로 예상했다. 하지만 예상외로 불법 사냥도구인 올무에 의해 죽은 개체가 늘었다. 또 올무에서 구해 재활과정을 거친 곰들도 사람과 너무 친해져 야생 적응에 실패해 다시 불러들여야 했다. 결국 55%만이 야생에서 활동 중이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반달가슴곰의 최소 또는 안정적 존속 개체군을 만드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들마저 생태계 통로단절 등으로 근친교배 등이 이뤄질 가능성이 높은 실정이다. 이에 따라 서식환경부터 조성해야 한다는 지적과 함께 계획수정이 불가피해진 상태다.

유진상기자 jsr@seoul.co.kr
2009-11-23 12:0:0 6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