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색의 향연 ‘서울윈터페스타’, 오징어게임2·‘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서울혁신파크, 일자리 시설 건립 땐 공공기여 최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경쟁률 600대 1 ‘DDP 루프탑투어’… 서울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성동형 스마트쉼터, 세계 4대 환경상 수상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MB정부 파워엘리트] <16> 환경부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개방적 조직…뚜렷한 인맥 없어 환경부 출신 실·국장 5명 불과

1980년 환경청 출범 이후 올해로 30주년을 맞은 환경부는 조직의 발전 속도가 빠르고 향후 덩치가 더 커질 가능성이 큰 부처이다. 환경부에는 뚜렷한 인맥이나 연결고리를 발견하기 어렵고, 행정고시와 기술고시 출신 차별도 거의 없다. 이는 조직의 부피를 키우는 과정에서 전입과 전출이 많았고 신생부처로서 개방적인 조직문화의 특성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만의 장관과 문정호 차관도 행정안전부와 국무총리실 출신이고, 공직생활을 환경부(처·청)에서부터 시작한 실·국장은 홍준석 기획조정실장을 포함, 5명에 불과하다.

●직원의 55%가 기술직 눈길

전문적 업무가 많아 직원의 과반이 기술직(55%)이다. 주요보직에 연세대 출신이 유독 많이 포진돼 있는 것도 눈에 띈다. 문정호 차관, 홍준석 실장, 유복환 감사관, 오종극 환경보건정책관, 백규석 자원순환국장은 모두 연세대 출신이다.

지난 3월 승진한 문정호 차관은 3년 9개월 동안 본부 실장(환경정책실장, 기획조정실장)을 역임했다. 문 차관과 고시 동기이며 공직생활을 환경청에서 시작한 홍준석 기획조정실장은 기획예산, 전산통계, 법무, 장관비서관, 대통령비서실, 대통령직인수위, 환경정책실장 등을 거친 기획통으로 통한다.

윤종수 환경정책실장은 일에 대한 열정과 공부를 많이 하는 스타일이다. 직원들에게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업무지시를 하고 보고서의 내용도 꼼꼼히 챙긴다. 서울대 영문과 출신답게 어학능력이 탁월하고 외국의 정책동향을 공부하는 학구파로 기후변화 분야 최고의 전문가로 통한다.

기술고시 15회인 김지태 물환경국장은 한양대 공대출신으로 폐기물 관리, 물관리, 상하수도, 자연보전 등 환경부 업무를 꿰뚫고 있다. 현재는 4대강의 수질과 생태환경 개선 업무를 맡고 있어 가장 바쁜 국장 중 한 사람이다. 행시 26회인 정연만 국장은 업무능력과 추진력이 탁월해 조직에서 인기가 높다. 2008년 자원순환국장으로 재직하면서 폐자원 에너지화 대책을 주도해 정책의 일대 전환을 가져왔다.

●주요 보직 연세대 출신 많아

백규석 자원순환국장도 일에 대한 열정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재현 국장은 대기관리 분야의 근무경험이 많아 최근 지방청장에서 기후대기 정책관으로 자리를 옮겼다.

안문수 국장은 대기, 폐기물과 수질관리 분야 기틀을 마련한 주인공이다. 기술직이지만 업무 장악력과 조직관리 능력을 인정받아 혁신인사기획관, 공보관, 정책기획관, 녹색환경정책관 등 핵심 보직을 두루 역임했다.

이정섭 녹색환경정책관은 국무조정실에서 2002년 환경부 법무담당관으로 전입했다. 이후 주무과장, 혁신인사기획관, 대변인 등 주요 보직을 거쳤고, 환경부 내에서 최고 마당발로 통한다. 기술고시 24회인 오종극 환경보건정책관은 환경부에서만 근무한 환경맨이다. 물 관리 분야에서 10년 동안 근무해 명실상부한 물 전문가에서 현재는 환경보건 정책을 책임지고 있다.

개방형 직위인 국제협력관은 외교부 출신의 김찬우, 감사관은 기획재정부 출신의 유복환 국장이 버티고 있다. 육사 36기 출신으로 특채된 김진석 대변인은 부드럽지만 절대 남에게 흐트러진 모습을 보여주지 않을 정도로 자신에 엄격하다. 꼼꼼한 업무스타일로 행정관리담당관, 법무담당관, 장관 비서관, 원주 지방환경청장 등을 거쳤다.

유진상기자 jsr@seoul.co.kr
2010-05-13 21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