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력 10월 1일인 12일 검은빛 제례복을 단정하게 차려입은 30여명의 제관은 공민왕과 노국공주의 초상 앞에 향과 잔을 올렸다. 공민왕 사당제가 열린 마포구 창전동에는 공민왕의 사당이 있다. 고려 말 자주정신이 투철했던 공민왕은 아내인 노국공주와 함께 자주 사당이 있던 자리의 정자를 찾아 시화를 즐겼다고 한다.
|
12일 마포구 창전동 공민왕 사당에서 마포문화원 및 공민왕사당제봉행추진위원회 관계자들이 주민의 안녕을 기원하는 공민왕 사당제를 봉행하고 있다.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
조선 초기에는 농산물이 모였던 서강나루에 광흥창이란 창고를 지었으며, 이를 본뜬 광흥당이 공민왕 사당 바로 곁에 있다. 광흥당에서는 외국인을 위한 국악 공연 등이 열린다. 광흥창을 지을 때 서강동에 사는 한 노인의 꿈에 공민왕이 나타나 “여기는 나의 정기가 서린 곳이니 사당을 짓고 봉제하면 번창하리라”고 해 사당이 건립됐다. 제사에 소홀하면 화재가 나는 등 재앙이 따라 공민왕 사당제는 600년 가까이 이어져 왔다. 사당은 2006년 국가등록문화재로 지정됐다.
윤창수 기자 geo@seoul.co.kr
2015-11-13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