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색의 향연 ‘서울윈터페스타’, 오징어게임2·‘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서울혁신파크, 일자리 시설 건립 땐 공공기여 최대

공사 관계자들 “한밤 파쇄석 500t 운반” 스카이칠십이 “금시초문, 말도 안 된다” 인천공항공사 “사실 확인 땐 법적 조치”

경쟁률 600대 1 ‘DDP 루프탑투어’… 서울

통계청 발표 ‘2020 고령자 통계’ 분석

성동형 스마트쉼터, 세계 4대 환경상 수상

평균 27.9년… 부처별 최대 13년 11개월차 행복도시건설청 17년 4개월로 가장 빨라 세종시 평균 17.6년… 전남은 28.3년 걸려

[공무원이 들려주는 공직이야기] (23)한국농수산대학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농수산 교육·창업 지원… 농어업 인재 양성 도우미

‘공무원이 들려주는 공직 이야기’ 23회에서는 농림축산식품부 소속 기관인 한국농수산대학 공무원을 소개한다. 농어업 분야 인재를 양성하는 한국농수산대의 업무를 살펴보고, 2014년 국가직 7급 공채 시험에 합격해 지난해 11월부터 한국농수산대에 정식 임용된 주무관의 업무, 채용 과정, 공직에 입문한 소회 등을 들어 봤다.


버섯학, 채소학 등 학생들에게 농어업 관련 전공만을 가르치는 대학이 있다. 농어업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1997년 설립된 한국농수산대다. 3년제 특수목적대학인 이곳에서는 농어업 관련 기본 지식부터 실무, 창업까지 배울 수 있다. 학업에 들어가는 비용은 모두 국가가 부담한다. 졸업생 평균 소득은 8594만원(2014년 기준)으로 일반 농가 소득의 2배를 웃돈다.

대학 설립 이후 현재까지 전체 졸업생 4000여명 가운데 85% 정도가 농수산업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학과, 채소학과를 포함해 과수학과, 산림조경학과, 말산업학과, 수산양식학과, 화훼학과 등 모두 11개 학과가 개설돼 있다. 3년 중 첫 1년은 전공 학과와 관련한 기본 소양을 갈고닦도록 커리큘럼이 짜여 있다. 모든 재학생은 2학년이 되면 미국, 일본, 영국, 호주, 네덜란드 등 농수산업 선진국으로 10개월~1년간 국외 연수를 떠난다. 3학년 때는 본격적으로 농어업 관련 창업설계, 전문기술, 경영 등을 포함한 종합 응용교육이 이뤄진다. 재학생들은 졸업 후 6년간 대학이 정한 농어업 분야에 종사한다.

지난해 11월 이 대학 기획조정팀에 임용된 윤성희(27) 주무관은 “발령을 받고 한국농수산대학을 처음 알게 됐는데, 재학생들이 졸업을 하면 곧바로 창업을 할 수 있도록 커리큘럼이 짜여 있는 것이 인상적이었다”고 말했다.

윤 주무관은 성균관대 프랑스어문학과를 졸업한 뒤 2014년 83.9대1의 경쟁률을 뚫고 국가직 7급 공채로 입직했다. 수험 기간은 2013년 7월부터 2014년 6월까지 1년이다. 그는 합격 비결을 묻자 “지치지 않도록 스스로를 달래 가며 공부한 것”이라고 말했다. “머리가 아플 때마다 시험과 전혀 관계가 없는 책을 보면서 잠시나마 스트레스를 풀기도 했습니다. 또 저만의 ‘보상데이(day)’도 만들어 과감하게 쉬었습니다. 물론 대신 평소에는 오전 8시쯤 집 근처 공공도서관에 도착해 오후 10시 30분까지 공부하며 규칙적으로 생활했습니다.”

임용 후 윤 주무관은 정부3.0(공공정보 개방·공유, 부처 간 소통·협력) 변화관리와 책임운영기관 관련 업무를 맡게 됐다. 한국농수산대는 행정자치부가 지정한 책임운영기관 49곳 중 하나다. 책임운영기관으로 지정되면 인사·예산 등을 기관장이 자율적으로 집행하는 게 특징이다. 행자부는 해마다 고객만족도 조사를 비롯해 책임운영기관 종합평가를 실시한다. 윤 주무관은 이에 대비해 평소 데이터를 수집하고, 평가 전 보고서를 제출하는 업무를 도맡고 있다. 또 정부3.0 기조에 따라 조직이 변화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윤 주무관은 “정부3.0 정책 기조에 부합하는 기관별 과제를 개발한다”며 “예를 들어 다른 기관과의 협업 과제를 개발하기 위해 다른 부서 공무원들과 영상회의를 하기도 하는데 기획조정팀은 아무래도 기관 전체 업무를 총괄하는 곳이다 보니, 특정 과제에 대한 전 부서별 추진 상황을 점검하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업무를 수행하려면 무엇보다 협업 능력이 중요하다. 이에 따른 고충도 만만치 않다. “항상 다른 부서에 전화를 걸어 자료를 요청해야 합니다. 신입이라서 그런 요청을 할 때 어려운 부분이 있기도 하고, 또 각자의 업무로 바쁜 분들에게 제 업무만 빨리 해결해 달라고 요청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항상 마감 시한을 한참 앞두고 자료를 요청합니다. 문서 작성 후에는 반드시 담당자에게 다시 보내서 검토를 받습니다.”

매일 아침 출근하자마자 가장 먼저 하는 업무도 협업 요청이다. “하루 일과를 시작할 때 전 부서 업무를 훑어 보면서 책임운영기관 성과나 정부3.0 변화관리에 해당하는 것들을 체크한 뒤 다른 부서에 전화를 걸어 자료를 요청합니다. 오후에는 다른 부서나 기관 직원과 업무 관련 회의를 합니다.”

지난해 한국농수산대의 성과를 정리한 평가보고서가 책자로 만들어졌을 때 가장 뿌듯했다고 윤 주무관은 말했다. 그는 공직자로서 가장 중요한 가치로 사명감을 꼽았다. “경제적 보상만으로는 공직생활을 통해 행복이나 보람을 느끼기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 제가 하는 일이 우리나라에서 없어서는 안 될 농업 인재를 양성하는 데 보탬이 될 것이라는 사명감을 가지고 일할 때 더 열심히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윤 주무관은 공무원시험 준비생들에게 “스스로를 믿고 불안함을 이겨내시길 바란다”고 당부하며 합격 통보를 받은 날을 떠올렸다. “첫 출근을 한 뒤에야 실감이 났습니다. 수험기간에는 ‘이런 생활이 언제 끝날지 모른다’는 생각에 힘겨웠지만, 돌이켜 보니 그때 키워 온 열정이 일을 열심히 하도록 하는 동력이 되는 것 같습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2016-03-31 24면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

자료 제공 : 정책브리핑 kor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