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덕 인사처 비서실 주무관
“기관장 보필하는 업무 중요… 새벽밥에 피곤해도 보람 커”“비서라는 직책이야말로 공직에 훨씬 잘 어울리는 것 같아요.”
인사혁신처 비서실에서 일하는 전현덕(37·7급) 주무관은 4일 “확실한 의전 덕분인지 기업체에 견줘 체계적인 것 같다”며 이렇게 말했다. “그러나 업계에선 실무진과 최고경영자(CEO)의 독대가 빠르지만 공직사회에선 절차를 중시하기 때문에 소통은 좀 늦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대학에서 식품공학을 전공한 전 주무관은 뜻하지 않은 인연으로 공직에 발을 들여놓았다. 2006년 한 대기업 사내 커플로 결혼했는데 한쪽은 지방으로 옮기든지 그만둬야 하는 분위기였다. 때마침 중앙공무원교육원(현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 원장실에서 일할 총무과 직원 1명을 뽑는다는 공고를 보고 도전장을 내밀었다. ‘공무원 상종가’라는 보도가 연일 언론을 장식하던 무렵이어서인지 1159명이나 몰렸다고 한다. ‘연령·지역·성별 무제한’이라는 응시 조건도 매력이었다. 그는 “다단계 면접에다 높은 경쟁률 때문에 걱정했는데 기업체 비서 경력을 보고 채용한 모양”이라며 활짝 웃었다.
현재 주 1~2회 이근면 인사처장의 외부 강연 때 쓰는 영상물 등의 자료를 만드는 게 주 임무로 꼽힌다. 물론 때마다 수행해 현장을 점검하기도 한다. 주변에서는 승진을 하려면 실무 부서를 거쳐야 한다고 조언하지만 전 주무관은 고개를 내저었다. 그는 “이 일도 자부심을 가질 만한 업무”라면서 “다만 총책임자인 비서실장 자리가 처음 승진해서 영입되거나 승진하는 코스로 여겨지는데, 비서직도 다른 직렬처럼 직제화됐으면 좋겠다”며 진지한 표정을 지었다. 기관장을 모시는 자리라 정책 이슈와 이념을 만들어 보여주는 중요한 업무이기 때문이란다. 일할 수 있는 영역을 넓혀 준 게 공직사회라고 설명했다. 그는 영업에서도 먼저 사람의 마음을 사야 하듯이 강연 자료를 고객에게 맞추라는 이 처장의 주문을 떠올렸다. “누군가를 진심으로 대할 땐 어떻게든 답례를 받기 마련인 듯하다”고 귀띔했다.
전 주무관은 “기관장의 의중과 심기를 파악해 편하도록 이끄는 게 비서의 의무”라며 “정년까지 가능하다면 비서 업무를 쭉 해도 괜찮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 당시인 2008년 ‘작은 정부’를 외치며 정원을 줄이는 통에 불요불급한 직무, 이른바 ‘초과 현원’으로 분류돼 대기발령을 받았다가 겨우 복직한 일을 잊지 못한다.
“일할 수 있는 책상을 가진 것만으로도 감사해야 한다.” 그는 한 선배 공무원의 조언을 항상 마음에 두고 있다고 했다.
송한수 기자 onekor@seoul.co.kr
2016-05-05 13면